자전거업종 중소기업범위 확대 건의 ... 자전거업계
입력
수정
취업장애인 대부분이 기술자격증을 요하는 전문직종보다는 단순업무에근무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직업훈련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한 장애인고용 의무가 있는 근로자 3백인이상 기업체들이 장애인을위한 편의 시설 및 복지.후생시설 설치에 무관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7일 노동부산하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 발표한 `장애인 취업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6백45개 업체의 장애인 근로자 2천7백51명중78.4%가 기술기능에 적합한 자격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는 정신지체자의 97%가, 청각.언어장애자는 84.2%,지체장애자는 77.1%, 시각장애자는 74.7%가 자격증을 갖지 못했다. 장애인고용촉진법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한 선결사항을 묻는 질문엔조사대상 기업체의 43.4%가 `장애인에 대한 인식전환''을 꼽았고 다음은`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 강화''(25%), `장애인 고용업체에 대한 지원금혜택''(11.7%), ''장애인 고용관리 및 기술지도''(10.9%)등을 지적했다.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로는 계단난간과 진료실의 경우 이들 업체의절반이상에 설치돼 있었으나 건물내 경사로, 장애인용 승강기, 지체장애인용 대.소변기 및 세면장등을 설치한 업체는 거의 없는데다가80%이상이 앞으로도 이러한 장애인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 없다고응답했다. 이번 실태조사결과 장애인취업자의 학력은 고졸(60.1%)이, 연령은30세이상(75%)이, 직종별로는 생산 및 관련직 종사자(48.4%)가 가장많았다. 월평균 임금수준은 절반정도(49.3%)가 상여금을 포함해 71만원 이상을받고 있으며 특히 1차 금속산업에 취업한 장애인은 71만원 이상이90.8%에 달했다. 기업체가 장애인고용을 회피하는 이유로는 장애인이 수행할 구체적업무분야가 없어(65.1%)직업훈련 및 취업알선 활동 불충분(14.8%)장애인 능력부족에 따른 작업능률 저하(7.9%)순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장애인 취업시 중요한 점은 장애인 본인의 노력(47.8%),기업인의 인식( 27.8%), 국가의 정책(16.3%), 주위 동료의태도(5.7%)등이고 채용경로는 공개채용(3 2.3%), 공공기관알선(24.2%),연고모집(24%), 장애인단체(6.1%)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