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경사설(30일) - I > 정보산업 육성전략의 몇가지전제

현대를 일컬어 정보화시대라고 한다. 그만큼 정보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있으며 앞으로의 전망도 밝다. 우리나라 정보산업도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90년 현재 관련업체수가1,875개,지난해 생산및 수출이 각각 GNP의 7.1%와 총수출의 13.1%를차지할 정도로 성장했다. 그러나 지난해 우리의 개인용컴퓨터(PC)생산과수출은 대만의 절발수준을 밑돌았으며 PC보급률도 대만의 2분의1,미국의24분의1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90년까지 해마다 100%이상씩 늘어났던정보산업의 기술개발투자가 91년에는 지난해에 비해 10.8% 줄어든데 이어올해에도 지난해보다 11.7%가 줄었고 시설투자마저 줄어 대책마련이요구되고 있다. 때맞춰 정부는 지난 28일 정보산업을 오는 2000년대의 국가기간산업으로육성하기 위한 "정보산업육성 국가전략계획"을 마련하여 내년부터시행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산업지원방안마다 단골로 등장하는 금융세제지원은 구체적인재원조달계획도 없이 남용되는 경향이 있으며 그나마 UR협상등에 따라통상마찰을 빚을수 있다. 따라서 정보산업발전을 위해 다음 두가지측면에서의 대책마련이 요구된다고 본다. 먼저 96년까지 PC보급을 1,000만대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실현하기위해서는 우선 수요측면에서 시장확대를 위한 노력이 있어야겠다.예를들면 부품을 표준화하여 호환이 가능케 하고 소프트웨어도 서로 다른기종에 두루 쓰일수 있게 개발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산업의 육성을 위해불법복제를 막을수 있는 효과적인 조치가 시급하며 각종 정보의 공개에정부가 앞장서야 한다. 또한 이제까지 방만하던 공공기관과 기업의 경영이내실위주로 되게끔 경제여건을 안정기조로 유지할때 정보산업에 대한수요가 커질 것이다. 다음 공급측면에서는 한정된 재원으로 기술개발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역할분담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나 추진방향에문제가 있다고 본다. 최종제품의 조립생산,시판및 애프터서비스는 조직과자금에서 유리한 대기업이 맡고 대신 중소기업은 소수의 고급기술인력을중심으로 기초과학기술을 상품화하는데 힘쓰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생각되기 때문이다. 정부지원은 여건조성과 질서확립에 그쳐야 하며 지원만능의 풍조는 오히려민간기업의 창의성과 생산성을 해치기 쉽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