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감소 추세에도 '사치성 소비재' 수입은 늘어..상공부

전반적인 수입 감소추세에도 불구,불요 불급한 사치성 소비재의 수입은식음료를 비롯,의류 주방.가정용품 생활용품등 대부분의 품목에서 여전히 크게 늘어나고 있다. 25일 상공부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재 수입은 11월말까지 77억달러로 전년같은기간보다 5.2%가 늘어나 전체 수입증가율 0.2%를 크게 웃돌았으며 특히사치성 소비재의 수입은 품목에 따라 최고 2.5배까지 늘어나는 급증세를보였다. 품목별로는 농약검출 시비를 빚었던 자몽이 4백72만달러 어치가 수입돼23.3%가 늘어났고 서구식 패스트푸드 업소에서 사용하는 조제 냉동감자는1천2백68만달러로 53%,조제감자는 8백만달러로 65.7%가 증가했으며오렌지주스는 8천1백14만달러로 43.3%가 늘어났다. 음식료품중에는 이같은 서구식 입맛의 제품외에도 버섯이 9백 48만달러어치가 들어와 1백17.9%가 증가했고 심지어 간장,된장의 수입도 크게 늘어 간장은 44.8%가 늘어난 55만달러,된장은 46.1%가 증가한 31만달러 어치가 각각 들어왔다. 섬유제품 가운데는 코트와 재킷이 1천6백39만달러로 1백23.1%가 늘어났고남성용셔츠가 8백38만달러로 1백7.2%,스웨터가 3천4백7만달러로 1백32.4%가각각 증가한 것은 물론 팬티호스,타이스등 스타킹도 3백96만달러로97.5%,유아복도 1백18만달러로 77.1%가 각각 늘어나는 급증세를 보였다. 가전제품은 믹서가 3백84만달러로 72.2%가 늘어났고 전기면도기도6백30만달러로 11.2%,미용기기가 2백66만달러로 59.8%,전기다리미가3백72만달러로 30.4%,전기오븐이 1백17만달러로 79.4%,전기밥솥이3만5천달러로 96.2%,보온병이 1천1백91만달러로 28.6%가 각각 증가했다. 주방용품 가운데는 정수기 수입이 6백79만달러로 54.1%,자기류 접시와쟁반은 4백70만달러어치가 들어와 1백%가 각각 증가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