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납토성 복원' 겉돈다...보상-공사비 830억 마련못해
입력
수정
지난 63년 문화재보호구역(사적11호)으로 지정된 서울 송파구 풍납동일대 풍납토성의 복원사업이 8백여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재원을 마련하는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다. 총연장 2680m(3만6천여평)인 풍납토성은 백제초기 삼국의 각축장이었던 `하남 위례성''터로 서울시는 지난 77년 이 일대에 대한 복원계획을수립, 천호대로변 446m를 폭 50m 높이 7.5m로 복원했다. 그러나 토성의 5분의 4에 해당하는 나머지 2080m 구간은 보장비(7백억원)와 공사비(130억원)를 합쳐 총예산이 830억원이나 소요돼 서울시는 구체적인 복원계획을 수립할 엄두도 못내고 있다. 그러나 인근주민들은 복원사업이 지연되면서 이 일대가 밤마다 불량배들의 우범지대로 변했을 뿐 아니라 30여년전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이래 줄곧 고도제한 등에 묶여 재산권행사에 심한 불이익을 받고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같은 주민들의 주장에 대해 타당성을 인정하면서도 국가지정문화재인 풍납토성의 복원비용을 중앙정부의 지원없이 지방자치단체인 서울시가 모두 떠맡을 수 없기 때문에 정부지원이 확정될 때까지당분간 사업시행이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의회도 이같은 사정을 감안, 최근 주민들이 제출한 `풍납토성복원요구에 관한 청원''을 심의하면서 명확한 결론은 유보한 채 "풍납토성도 국가사적임이 분명한 만큼 서울시가 국고지원을 받을 수 있는 가능한 조치를 취하는게 타당하다"는 의견서를 채택하는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