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사업' 감사 방산관련사업에 불똥튈까 우려...관련업계

방위력 증강을 위한 "율곡사업"등 군수.방위산업에 대한 정부의 조사가 확대됨에 따라 방산관련업계는 그 파장이 기업으로까지 확산되지않을까 크게 우려하고있다. 28일 관련업계와 감사원 및 국방부에 따르면 감사원감사는 KFP(한국전투기사업) 기종선정등과 같은 고가무기의 구입경위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산화조치 이행여부 방산업체관리 등으로 감사가 확대될 경우엔 시제품 생산업체 선정과정까지 도마위에 올라 기업에도 파문이 확산될 것으로우려된다는 것이다. 이와관련, 야당 국회의원들은 이미 해군의 잠수함 구축함 사업때 시제품생산업체로 대우를 선정한 것에 대해 의혹을 제기한 바 있으며 업계에서는 6천8백억원이 드는 UH-60 헬기 81대의 기술도입 생산업체로 대한항공이 선정된 배경에 대해서도 의문을 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삼성전자가 육군의 K-1전차 사업의 포수 조준경 생산에 차질을 빚었음에도 불구하고 별탈없이 생산을 계속한 점등에 대해 의혹이 제기되고있다. 이에따라 대우 삼성 현대그룹등 대형 방산업체를 거느리고 있는 그룹들은 일단 방산비리에 대한 사정작업이 어떠한 형태로 전개될 것인지의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나름대로의 대응방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관련그룹들은 기본적으로 방위산업비리는 권력핵심층과 군관계자들간의 문제이며 기업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는 논리를 펴면서도 당혹스런 표정으로 사태의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대우그룹의 한 관계자는 "잠수함 구축함등의 시제품생산업체 선정과정에 비리가 개입된다는 것은 있을수 없는 일이며 상식밖의 일"이라고 일축하면서도"사정의 칼날이 최종적으로 기업을 겨낭하게 되거나 여론의 추이가 기업비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 KFP와 K-1전차 포수 조준경사업에 계열사가 관계돼 있는 삼성그룹 관계자도기업이 방산비리에 관련돼 있을 소지는 전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와관련,재계 관계자들은 정부도 차세대 무기조달사업과 관련해서는 신중한 자세를 취할 방침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단은 추이를 지켜볼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반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