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칼럼] 작은 차가 아름답다 .. 이건영 건설부 차관

영국에 미니라는 자동차가 있다. 영국의 국민차다. 1956년 수에즈전쟁때 석유수송이 힘들자 에너지를 적게 쓰는 차로 개발된 것이다. 6백50~8백50cc 짜리로 우리의 프라이드보다 훨씬 작다. 세계 최초의전륜구동차다. 고풍스런 디자인으로 앙증맞은 스타일인데 매년 변치 않는모습으로 만들어 낸다. 덩치 큰 영국인들이 조그만 미니에 앉아 있는 모습은 도무지 어울리지않는다. 영국 뿐만 아니라 유럽 여러나라는 저마다 작은 국민차가 인기를끌고 있다. 평균적으로 우리나라의 자동차가 유럽 여러나라의 자동차보다 큰 편이다.우리나라의 자동차는 너무 멋없이 크다. 자동차의 크기가 곧 신분의상징이 되었다. 중소기업하는 사람들도 업계에서의 신용을 허장하기위해서 그랜저를 타고,대학교수들까지 체면 때문이라며 포텐샤를타고,요즘은 부인네들까지 로얄 수퍼 살롱을 타고 다닌다. 그래야 남보다 한 단계 위에서 논다는 증명이 된다는 것이다. 음식점이나호텔 주차장에 가면 대접이 다르고 교통순경마저 공손히 대해 준다.대형차가 곧 신분상승의 징표가 되었다. 내가 아는 국장은 다 낡은 포니를 고집스레 계속 몰고 다니다가 과장계장까지 소나타를 타고 다니게 되자 할 수 없이 소나타로 바꾸었다. 왜들 이러는가. 소형 아파트촌 앞 주차장에도 대형차들이 즐비하게 주차되어 있다. 이제집은 없어도 자동차부터 사는 기동성사회가 되었지만 고작 십여평 아파트에살면서도 자동차만은 번듯하고 큰 것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자동차에 대한 과소비는 이미 정도를 넘어선지 오래다. 87년 국산 자동차판매상황을 보면 소형차(1천5백cc이하)가 70%였는데 작년에는 60%로 줄었다.자동차가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기름 한방울 안나는 나라다. 도로나 주차장 스페이스도부족하다. 모든 자원을 아껴야 한다. 자동차의 크기도 작아져야 되지않을까. 이같은 자동차 과소비는 자동차문화가 아직 정착하지 못한 탓일것이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