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하구 공단-항만 또다시 추진...1백만평매립 연말착공
입력
수정
해운항만청이 지난85년 이후 여론에 밀려 유보했던 부산 다대포앞 자연생태계보전지역 일부에 항만건설및 목재단지조성을 다시 추진키로 하자 환경처등이 생태계파괴행위라면서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10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해운항만청과 수산청등은 다대포해수욕장앞 공유수면 1백만평을 매립해 공단50만평과 1만5천 급7선석규모의 항만시설을 올연말부터 97년말까지 건설할 계획을 구체화하고있다. 이와관련,환경처와 민간환경단체들은 "아시아 최대의 철새도래지인 낙동강하구의 을숙도주변 34 의 자연생태계 파괴가 우려된다"면서 이의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관계당국과 민간환경단체들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자 청와대 경제기획원등이 중재에 나서는등 "개발과 환경"의 조화문제를 놓고 범정부와 민간단체들이 뜨거운 논란을 빚고 있다. 해항청은 부산시북구 사하구등 주거지역에 밀집한 2백여개 원목가공공장을입주시킬 공단과 이의 해상수송을 위한 항만시설을 세계은행(IBRD)차관 7천만달러로 하구왼쪽의 공유수면에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해항청은 지난 85년 이후 수차례의 추진과 유보를 거듭한 다대포항 개발사업이 "신경제정책하에서는 긍정적인 결론이 날수 있다"면서 지난 4월 생태계보전구역의 일부를 해제해주도록 환경처에 요청했다. 항만청 관계자는 "다대포지역은 낙동강 하구둑이 축조된후 모래의 퇴적으로 육지화된데다 철새들이 이 지역보다는 인근 명지지역에 주로 서식하고 있다"며 "늘어나는 해상수송량을 수용할 항만건설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환경처와 민간환경단체들은 지난89년3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지정된 생태계보호구역을 양보할수 없을뿐아니라 이 지역의 개발이 본격화될때 수조의 서식지(습지)보호에 관한 협약(RAMSA)에 따라 우리 정부가 국제적인 비난의 표적이 될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환경처는 이와함께 철새도래지인 을숙도와 다대포에서 육안으로 관찰된 조류가 18종 1천6백48개체 이상이 된다고 지적,생태계 보호지역의 공단및 항만건설은 낙동강 하구 전지역의 생태계 파괴를 초래할것이라고 맞서고 있다. 환경처 관계자는 "이 지역의 개발사업이 시행될때 갯벌과 갈대밭이 상실되고 이를 비난하는 국내외 환경단체들이 우리제품에대한 불매운동을 벌일 가능성이 있다"면서 "현재 일본의 홋카이도에서 열리고 있는 RAM-SA회원국 회의에서 이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