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창] 여성지휘자 탄생..변상근<재미자유기고가>
입력
수정
지난2월 빈 필하모닉이 게오르그 솔티경을 지휘자로 초빙,북미순회연주회를 가졌었다. 워싱턴 공연의 레파토리는 멘델스존의 교향곡"이탈리안"과 베토벤의 교향곡3번 "에로이카",지휘자와 낙단게다가연주곡까지 인기가 높아 케네디센터가 모처럼 만원사례로 북적댔었다. 공연후 리셉션에서 솔티경의 지휘가 어떠했느냐는 물음에 한 단원은반종담조로 "우리는 지휘자가 필요없는 악단이다. 누가 지휘봉을 잡던우리는 우리방식대로 연주를 한다"고 으쓱했다. 시카고 교향악단의명예지휘자 솔티경은 이시대 지휘계의 손꼽는 거장,오케스트라가 고유의얼굴을 갖는다면 지휘자는 무엇인가. 하기야 이날의 양코르 요한쉬트라우스의 "박쥐 서곡"연주때는 솔티경의 손놀림이 한결 수동적이었다는 평도 나올 정도였다. 연주는 "창조적 재현"으로 불리운다. 같은 곡을 같은 악단이 연주한다해도 지휘자의 개성과 곡의 해석여하에 따라 연주시간에서부터몇분씩 차이가 난다. 샤르르 뮌쉬는 지휘의 "업"을 "수도증"의 경지에 즐겨 비긴다. 레코드취입을 싫어하는 "생음의 폭군"뮌헨 필의 세르지우 첼리비다케는"모든 연주는 그 때마다 초연이다. 리허설은 1,000가지의 "노우"를 죽여단 한번의 "예스"를 만들어 내는 일"이라고 단원들을 들볶는다. 고도의 수업과 장인정신이 요구되는 이 지휘계에 마침내 여성들이 진출을시작했다. 영국 내셔널 오페라의시안 에드워즈(33)에 이어 호주의 시몬영(32)이 오는10월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와 오펜바흐의 "호프만의이야기"로 데뷰한다. 또 미국의 카렌 켈트너(45)는 최근 뉴욕시티오페라와 푸치니의 "라 보엠"으로,캐롤 크로포드는 샌트루이스오페라와 마스네의 "센드리용"으로 각각 지휘봉을 처음 잡았다. 이들은지휘계가 "여성차별주의의 마지막 보루"였다며 여왕과 여수상을 낳은영국의 신사적 전통에 그 공을 돌렸다. 이들의 지휘는 모두 오페라무대,역시 여성다운 섬세함과 감성이 돋보인다는 평가다. 크로포드는심포니무대에서는 아직도 여성을 꺼려하고 있다며 이 심포니무대에서남성들과 당당히 겨뤄 보겠다고 기염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