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곡수매 `냉해진통' 예상...농민 "보상불가피" 값인상주장

추곡수매를 앞두고 정부와 농민단체 등이 수매량과 수매가 문제로 이견을 보이고 있어 올해에도 추곡수매를 둘러싸고 큰 진통이 예상된다. 20일 경제기획원과 농림수산부 등 정부 관련부처와 농민단체 등에 따르면 전반적인 물가안정을 위해 추곡수매가 인상폭을 억제하려는 정부방침과 80년이후 가장 큰 냉해 피해를 보전해 주는 취지에서 대폭 인상해야한다는 농민단체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수매량에 대해서도 지난달 계절에 따른 쌀값의 가격차이를 대폭 허용하는 등 민간유통기능을 활성화 한다는 양정개혁간의 취지에 맞게 축소해야한다는 주장과 냉해를 감안, 예년보다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물가당국은 올해 소비자물가상승폭을 4~5%로 억제한다는 목표 아래 유도했음에도 불구, 눙림수산물가격의 오름세로 8월말 현재 이미 4.3% 상승한 만큼 추곡수매가 인상은 반드시 5% 이내에 그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작년의 경우 정부는 수매가를 전년대비 6% 올렸다. 이에 대해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농민단체 등에서는 올해의 냉해에 따른피해보상을 위해서라도 수매가를 대폭 인상하고 당초 양정개혁안대로 쌀값의 계절변동을 허용, 농민들에게 이익을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농림수산부는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올해 추곡수매량을 작년 수준과 비슷하게 유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수매량은 최소 지난해의 9백50만섬(정부 수매 7백10만섬 농협수매 2백50만섬)에 이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