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자리공' 환경오염 연관싸고 "논란"

최근 수원 팔달산, 서울 남산 등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 자라고 있 는 것으로 알려진 `미국 자리공''이 실제로 환경오염 관련성과 유해성이 검증된 적이 없는 가설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미국 자리공''이 생태계 파괴의 적신호라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해당지역 주민들이 `기피식물''로 여기는 등 불안감이 늘고 있어 당국이 빨 리 관계전문가들과 함께 조사단을 구성해 환경파괴 여부를 밝혀야 한다는여론이다. 농촌진흥청이 발간한 과 등에 따르면 숙근초인 미국 자리공은 지난 59년 흑산도에서 전 서울대 농대 이창복 교수에 의해 최초로 발견돼 학계에 보고된 이래 경남 삼천포.진주, 경북 경산 등 전국 곳곳에 고루 분포돼 있으며 농가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대 김은식(39.산림자원) 교수는 "`상륙''으로도 불리워온 `미국자리공''과 `일반 자리공''은 이뇨제 등 전통 한약재의 원료로 사용되는가 하면 미국에서는 적포도주에 색깔을 내는 데 쓰이는 등 곳곳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유용식물"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공단 지역과 일반 토양이 산성화되는 추세에 비춰 산성토양에서 미국 자리공이 발견됐다고 토양산성화 또는 대기오염과 연관 있다고 규정하는 것은 비약"이라며 "객관성 있는 검증절차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서울시립대 이경재(44.환경생태학) 교수는 "미국 자리공은 수원의 경우 지금까지 정상 토양의 산성도 pH 5.3~5.6보다 높은 pH 4 정도의 강산성 토양에서 집단으로 발견됐다"며 "`미국 자리공''이 토양산성화의 직접 원인인지는 확증되지 않았지만 다른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주는 것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특히 "이런 미국 자리공의 번식.확산 추세는 울산.온산.여천 등에서 뚜렷하다"며 "이는 생태계 파괴의 적신호"라고 주장했다. 한편 수원시 환경관리계장 김병성(44)씨는 "환경처에서 조사한 93년도 대기오염도 수치 검토와 관련 학자들에게 문의한 결과 아황산가스는 기준치 0.05ppm보다 적은 0.030ppm이고, 먼지는 기준치 150마이크로그램보다 적은 90.8마이크로그램이었다"며 "미국 자리공이 대기오염 및 토양산성화에 직접 연관성이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환경파괴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은 만큼 당국이 학계의 이러한 논란에 대해 객관적인 검증을 거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