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대 본고사 문제 <<<...연세대 국어 < 7 >

[주관식 12-1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아빠, 밥 먹어." 흔히 아이들이 가정에서 하는 한마디다. "아버님, 진지 잡수십시오."가 이렇게 변했다. "아빠, 진지 드세요.", "아버지, 밥 잡수세요."...... 하여간 존대말이 사라져 가고 있다. 말의 품위가 떨어지고 있다. 가정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학교와 사회에서도 일반 적인 현상이 되어 버린 느낌이다. 몇 백 년 다져 온 전통적인 언어 의식을 근거로 본다면 이것은 용납할 수 없는 ''말의 혼돈''이 아닐 수 없다. 50년대에서 60년대를 거쳐70년대에 이르는 30년, 격동하는 시기에 언어 생활의 기초를 닦은 계층은, 우리 말을 새로운 외국어로 배우는 외국인처럼, 말의 격과 존칭어에 일단 거부 반응을 보인다. 아이들의 말버릇을 들어 보면, 그 집안의 분위기나 가풍을 알 수 있듯이, 요즘의 사회 통용어를 통하여 어렵지 않게 지금의 사회 분위기나 사회 기풍을 짚어 볼 수가 있다. 말은 시대 상황의 표현 이기 때문이다. 대가족/제도가 핵가족으로 분화된 뒤 두드러지게 표면화된 것 가운데 존대법이 줄어드는 경향을 들 수 있다. 말의 격에 따라 달리 쓰이는 존대말의 구별이나 선택에 익숙해 지려면 전통 의식에 근거한 사회화 과정이 필요하다. 외국인들 에게는 대단히 어려운 과정이지만 우리는 적응해 갈 수 있다. 지속적 으로 안정된 사회에서는 말의 혼란이 생기지 않는다. 뒤집으면, 흔들렸던 사회의 틀이 아직 제 자리를 못 잡았다는 증거이다. 사회는 유동하면서 발전하나 기반까지 흔들리면 정돈이 오래 걸려 힘겨워진다. 결국 ''말''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런 경향을 우리 말의 타락으로 한탄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말의 평준화 또는 단순화로 보는 이들도 없지 않다. 말 버릇이 없다고 야단을 치면 오히려 의아해 하는 계층이 후자에 속 한다. 그들은 존경의 표시보다 친근감의 표시를 더 중히 여긴다고 항변한다. 여기에서 사고의 차이가 드러나며 가치판단의 차이가 엿 보인다. [주관식 12] 이 글은 국어의 어떠한 현상에 대해 쓴 글인가? 본문에 있는 말로 답하시오. (3점)[주관식 13] 위 예문의 순서를 뜻이 가장 잘 통하도록 바로 잡되, 를 가장 첫 단락으로 두시오. (3점)[주관식 14] 이 글의 필자가 가장 중요시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본문에 나타난 낱말 하나로 답하시오. (3점)[주관식 15-16]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주관식 15] "철수가 걸음을 걷는 것이 이상하다."라는 문장은 두 가지 로 해석된다. 그 각각을 단의적인 짧은 문장으로 쓰시오. (2점)[ 주관식 16번 ] 문제는 자료실에서 연세대 국어문제를 통해 찾아보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