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만경제협력위 5월 서울서 개최..경제교류 활기 띌 전망

한.대만경제계가 지난 92년8월의 한.중수교이후 중단됐던 한.대만경제협력위원회를 오는5월 서울에서 열기로 합의, 양국간 민간차원의 경제교류가 다시 활기를 띌 전망이다. 21일 전경련은 한.대만경제협력위원회를 서울에서 개최, 양국국적기의운항중단 농산물구상무역 국제입찰시의 한국업체 참여배제 한국산자동차수입규제 한국산 석유화학및 철강제품에 대한 대만의 반덤핑규제등양국간 경제현안문제를 논의키로 했다고 밝혔다. 대만경제계는 이를위해 제프리 쿠 한.대만경제협력위원회 대만측위원장을단장으로 하는 경제사절단을 파견하겠다고 한.대만경제협력위원회 서울사무국에 최근 전해왔다. 한.대만경제협력위원회는 대표적인 양국간 민간경제협력창구 역할을 해왔으나 지난92년8월의 한.중수교와 그에따른 양국외교관계단절이후 지금까지 중단돼왔다. 전경련관계자는 이와관련, "오는3월중 우리측 대표단이 대만을 방문할예정이었으나 대만측이 자신들이 방한할 차례라고 주장, 서울에서 한.대만경제협력위원회를 개최하게된 것"이라고 설명하고 "양국정부간 관계정상화에 이은 민간차원의 협력재개로 한.대만간 경제교류는 다시 활기를 띄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만은 한.중수교이후 국내항공의 대만취항금지, 양국간 농산물구상무역중단, 자국정부공사에 대한 국내업체의 입찰참여배제, 한국산자동차 수입쿼터에 대한 면장발급금지, 대만국영기업과의 거래제한, 한국에 대한 최혜국대우 철폐등의 보복조치를 취했었다. 이에따라 92년8월의 한.중수교이전까지 전년대비 56.0%에 달했던 대대만수출신장율이 작년에는 1.4%로 낮아지는등 양국간 교역이 크게 위축돼왔는데 오는5월의 한.대만경제협력위원회가 양국간 경제교류정상화의 계기가 될 것으로 전경련은 보고있다. 전경련은 대만의 이같은 보복으로 연간 3억8천만달러(과일 3천만달러자동차 7천만달러 철강.화학 2억5천만달러 가전.신발 3천만달러등)의 수출차질과 운임및 관광수입에서 연간3억2천만달러의 손실을 입고 있다고 분석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