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일자) 물가안정세, 낙관은 이르다

일상생활과 관련이 깊은 소비자물가의 상승률이 둔화세를 보였다는 것은 반가운 현상이다. 경제기획원에 따르면 지난 8월말까지 작년말대비 6%나 올랐던 소비자물가가 9월이후 두달동안 0.3%포인트씩 연속 하락하여 작년말대비 5.3%밖에 상승하지 않은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원은 연말 물가를 지난해 상승률인 5.8%이내로 잡을수 있을것으로 보고있다고 한다. 이같은 물가의 안정에 결정적 도움이 된것은 폭염과 가뭄으로 크게 올랐던 채소류값이 다시 정상수준을 회복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다. 그러나 앞으로 연말까지 두달동안에 소비자물가가 오를 전망이 없다고 단정,물가는 문제없다는 식으로 속단해버리는 것은 물가문제를 너무 쉽게보는 태도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소비자물가는 시장에서의 물건이 수요공급동향 이외에 임금,환율,이자율,통화량및 공공요금,수입정책등이 달라지는데 따라 오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하락세가 최근 크게 둔화된 가운데 전국의 땅값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는 건설부의 한 조사분석은 무시될수 없다. 그 이유는 땅값이 오르게 되면 소비자물가를 구성하는 주거비 집세에도 파급상승효과가 미칠수 있다는데 있다. 그리고 소비자물가라고 할때 솔직히 말해서 일반국민의 관심은 지수로 표시된 물가수준의 향방보다도 일상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소채류,과일,빵,그리고 집세,이발.목욕료,택시요금등의 개별가격의 동향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이 말의 의미는 가전상품등 내구소비재 값이 내림으로써 결과적으로 물가수준이 1~2% 떨어진다 해도 일반 소비자들은 식료품값의 상승이 있으면 물가문제가 해소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는 생각하지않는 이야기다. 다시 말해서 일반소비자의 직접적 관심사는 물가수준으로서의 지수 상승문제보다는 상대가격의 움직임에 있는 것이다. 특히 올해의 경우 한때이지만 폭염과 가뭄에 영향을 입은 소채류 값의 폭등은 수급면에서의 조절장치와 유통기구의 효율적인 재정비가 앞으로 물가정책에 하나의 숙제로 파악되고 해결책이 강구돼야 함을 일깨워줬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4.7~5.7%로 결정된 한국전력,한국통신등 정부 투자기관의 내년도 임금인상률이 다른 민간 기업의 임금과 내년도 소비자물가에 미칠 영향이다. 이 경우에도 행정의 입장보다 소비자와 기업의 입장에서 물가를 파악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1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