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 재계] (6) 성수대교 붕괴 건설업계 부실시공 "회오리"

지난 10월 21일 발생한 성수대교 붕괴사고는 한국사회전체를 충격속으로 몰아넣었다. 이 사고는 인명피해가 30여명이나 됐다는것외에도 출근길에 서울 한복판을관통하는 다리 상판이 통째로 내려앉았다는 점에서 충격이 일파만파로 퍼져 나갔다. 사고 충격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은 것은 건설업계였다. 초기엔 사고원인이 관리부실쪽으로 가닥을 잡아가다가 결국 시공상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는 견해가 우세해지며 건설업계 전체가 부실공사 시비에 말려들었다. 업체들은 한강의 모든 교량을 비롯 자사가 시공한 전국의 주요 교량에 대한자체안전점검을 실시하느라 법석을 떨었다. 또 동아건설은 1천5백억원을 들여 성수대교를 전면 재시공, 헌납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공공공사 무한책임주의 시대가 온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다. 사고여파는 해외에까지 미쳤다. 일본을 필두로 해외건설공사 경쟁국가들이 한국건설업 수준을 통째로 평가절하하는 국제여론을 조성, 우리업체들이 동남아 일부공사에서 최저가로응찰하고도 PQ(입찰자격사전심사)에서 제외되는 불이익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성수대교 붕괴사고의 충격과 파문이 컸던데 비해 부실방지대책은 뾰족한게 나오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고의 원인을 결과론적 시각에서만 보고 건설업체들을 비판했을 뿐 부실공사를 낳을수 있는 제도나 관행을 바로잡지는 못했다는 지적이다. 결국 "제2의 성수대교사고"를 막을수 있는 근본 대책을 마련하는 작업은 새해의 과제로 넘어가게 됐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2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