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 3사, 차량경량화작업 나서

승용차 3사가 차량경량화작업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 기아 대우등 승용차 3사는 각종부품의 소재를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으로 교체하는 한편 보디소재 역시 강판이 아닌 다른 소재를 채택하기 시작했다. 이는 연비향상에 차체무게를 낮추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다. 현대자동차는 새롭게 내놓은 알파 DOHC엔진의 실린더 헤드커버의 소재를 알루미늄에서 플라스틱으로,에어 클리너의 소재를 철강에서 플라스틱으로 각각 교체했다. 이엔진이 장착되는 J- 는 이밖에도 다양한 경량화가 진행돼 차체는 엘란트라보다 크면서도 차량무게는 오히려 가벼워질 것이라고 회사측은 밝혔다. 이회사는 지난해 연말 스쿠프 보디의 프론트 펜더(앞바퀴를 덮고 있는 겉부분)의 소재를 강판에서 플라스틱으로 전환했다. 또 엑센트의 연료탱크 소재를 강판에서 플라스틱으로,흡기다기관 소재를 알루미늄에서 플라스틱으로 바꿔 차량무게를 60 이나 줄였다. 기아자동차는 유럽에 수출되는 스포티지의 연료탱크 소재를 강판에서 플라스틱으로 바꿨다. 또 뉴세피아를 새롭게 내놓으면서 세계 처음으로 수지코어공법으로 개발한플라스틱 흡기다기관을 장착했다. 이는 기존 제품보다 60%나 가볍다. 기아는 또 수지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강화플라스틱(FRP)판 스프링 1백% 알루미늄 보디등의 개발에 성공해 신차에 적용하게 된다. 이와함께 차체와 보디가 플라스틱으로 된 스포츠카의 개발이 거의 마무리단계에 들어가 내년부터 계열사인 서해공업에서 생산토록 할 계획이다. 대우자동차도 플라스틱소재의 실린더헤드커버 후드 범퍼빔 흡기다기관 알루미늄소재의 후드 본네트 마그네슘소재의 트랜스미션커버 스티어링휠을 개발 시험중이다. 이와함께 대우고등기술연구원에서는 알루미늄 차체를 개발중이다. 당분간 특별한 신차종 발표계획이 없는 대우는 96년부터 선보일 신차에 이같은 개발품을 적용할 계획이다. > (한국경제신문 1995년 2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