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들 건강관심 무공해/저지방식품 선호..현대연/본사 조사

*********************************************************************** 우리나라 주부들은 백화점의 바겐세일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조사됐다. 또 돈을 더 주고라도 무공해음식을 사먹겠다는 의견과 무가당이나 저지방식품을 고르겠다는 의견이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은 한국경제신문사와 현대경제사회연구원이 공동기획으로 6대도시 주부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주부들의 소비행태를 간추린 것이다. ***********************************************************************[[[ 가전제품 ]]] 가전제품을 구입할때 특정회사의 이미지가 여전히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주부의 43.5%는 가전제품을 구입할때 "가전제품은 **전자"하는 식으로제품구분없이 특정회사를 선호했다. 반면에 "냉장고는 00사, TV는 전자"하는 식으로 제품별로 선호회사가 다른 주부가 36.7%, "특정회사 제품을 선호하지 않는다"가 19.8%로 아직도 가전제품 구입시 메이커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회사를 선호하는 경향은 학력이 낮고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보이고 있다. 또한 가전제품을 구입할때 가장 고려하는 사항에 대한 질문 결과를 보면 품질(23.5%) 기능(22.2%) 회사(20.0%)의 3가지 요인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것으로 나타나 어느 회사제품인가하는 회사이미지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했다. 다음으로 중시되는 요소는 가격(7.3%) 디자인.색상(6.3%) 크기.용량(6.0%) 내구성(5.0%) 애프터서비스(4.5%) 집에서의 거리(3.0%) 등이었다. 메이커를 중시하는 경향은 50대이상이 23.%로 가장 높았고 40대 21.7%,30대 18.8%, 20대 15.7%등 나이가 많을수록 메이커를 중시했다. 가전제품구입과 관련한 주부들의 태도조사에서는 신형이면서도 기능이 단순한 제품을 선호한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조금 비싸더라도 구형보다는 신형을 사는 편이다"는 답변이 82.5%,"기능이 많은 제품보다는 조금 가격이 싸고 단순한 제품이 더좋다"는 의견이 59.8%에 달했다. 50대이상의 연령층에서는 "기능이 많은 제품보다는 가격이 싸고 기능이 단순한 제품이 더 좋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아 64.7%를 기록했다. 유행에 따른 구매행동도 많아 "기존에 많이 팔리는 제품을 선호한다"는 의견이 59.2%, "친구나 이웃집의 가전제품을 보고 나도 같은 제품을 산적이있다"는 의견이 21.5%로 나타났다. 또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같은 경향이 짙었다. "많이 팔리는 제품을 선호한다"라는 답변이 대학재학이상 주부층에서는 69.9%를 차지한데 반해 고졸이하 주부는 55.1%에 그쳤다. "친구나 이웃집의 가전제품을 보고 나도 같은 제품을 산적이 있다"는 의견도 연소득 3천만원초과층에서 29.2%로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소득수준이 낮아질수록 점점 낮아져 1천2백만원이하의 경우 17.7%에 불과했다. "조금 무리해서라도 큰 제품을 사는 편이다"라는 의견이 45.5%로 대형선호추세가 여전했다. "제품이 갖고있는 기능중 몰라서 못쓰는 것이 많다"는 응답이 절반에 가까운 48.5%에 달해 현재의 가전제품들은 불필요하게 복잡한 기능을 갖고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동차 ]]] 자동차를 구입할때 가장 중요시하는 요소론 전체의 42.3%가 안전성을 꼽아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서 성능 18.5% 가격 9.0% 아프터서비스(A/S) 8.5% 스타일 5.3%순이었다. 이밖에 고장없음 5.2% 제조회사 4.2% 유지비 3.3% 대금지불조건 0.5%등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자동차사고에 대한 우려가 자동차를 구입할때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걸 보여준다. 연령별로는 20대(47.2%), 소득수준별로는 연봉1천2백만-1천8백만원(46.9%), 지역별로는 대구지역(58.5%) 주부들이 상대적으로 안전성을 더 중요시했다. 대부분 주부들은 자동차 구입시 고려요인으로 안전성에 이어 성능을 꼽았다. 그러나 20대 주부들만은 스타일(11.2%)을 성능(11.2%)과 같은 정도로 중요시해 신세대주부만의 특징을 나타냈다. 응답주부의 44.9%는 "한번 새차를 사면 못쓸때까지 사용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최소 5년은 사용하겠다"와 "6년이상 사용하겠다"는 응답도 각각 27.4%와 11.1%에 달했다. 이로 미뤄 10명중 8명은 일단 새차를 사면 5년이상 장기간 사용할 계획인것을 알수 있다. 반면 "1년후에 차를 바꾸겠다"와 "2년후에 차를 바꾸겠다"고 응답한 사람은각각 0.2%와 1.7%에 불과했다. 주부들의 88.8%는 "우리나라사람들은 분수에 넘는 자가용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고 응답했다. 이는 현재 국내 자가용이 선진국과는 달리 중.대형이 많은등 경제수준에 걸맞지 않다고 생각하는 주부들이 그만큼 많다는걸 의미한다. 전체의 43.3%는 "우리사회에서 자가용은 여전히 신분을 상징한다"고 응답,마이카시대에도 자동차의 자리매김이 사회계층을 구분짓는 잣대라는 인식이강함을 보여줬다. "외제차를 몰고 다니는 사람을 보면 애국심이 없어 보인다"는 주부도 전체의 55.8%에 달해 외제차에 대한 거부감이 아직도 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경향은 연령이 많을수록(50대이상 70.6%, 20대 41.6%) 교육수준이 낮을수록(고졸이하 60.6%, 대재이상 53.4%) 소득이 적을수록 강했다. 경제사정을 고려한 자동차구매태도는 전반적으로 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금 무리가 되더라도 큰 차를 사는 편이 낫다"고 응답한 주부는 29.0%에불과한 반면 "무리를 하지 않고 형편에 맞는 차를 사겠다"는 주부는 71.0%에달했다. 그러나 40대와 50대 주부는 큰 차에 대한 선호도가 각각 33.3%와 37.3%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같은 값이라면 새차를 사기보다는 좀 더 큰 중고차를 사겠다"고 답한 주부는 24.7%에 그쳐 "크기가 작더라도 새차를 사겠다"고 응답한 주부(75.3%)의 3분의 1에 불과했다. 이는 자동차구매경향이 점점 내실위주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쇼핑장소 ]]] 주부들의 27.5%가 백화점에서 세일할때만 물건을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부들의 알뜰구매경향과 함께 세일행사때마다 백화점주변의 교통혼잡을 설명해 주고 있다. 한달에 한번이상 백화점에서 물품을 구입한다고 응답한 주부도 25.9%에달했다. 일주일에 한번이상이 5.3%, 2주일에 한번이 5.8%, 한달에 한번이 14.8%였다. 2달에 한번(3.8%) 3달에 한번(3.8%)정도로 뜸하게 이용하는 주부들도 7.6%나 된다. 백화점에서는 거의 사지 않는다는 주부도 38.8%나 됐다. 아이쇼핑만을 위해서 1주일에 한번이상 백화점을 간다는 주부도 9.8%나됐고 세일할때만 아이쇼핑한다는 주부도 12.7%여서 백화점 세일시 방문은하지만 물건을 사지 않는 주부가 10%를 넘었다. 주부들의 68.1%가 살물건을 잘 메모했다가 백화점의 바겐세일을 이용한다고응답했다. 이는 백화점바겐세일을 계획적으로 활용하는 주부들의 알뜰구매성향을 뚜렷이 보여준 것이다. 백화점은 주로 한 곳만을 정해놓고 이용한다는 주부는 37.6%였으며 특히 20대의 절반이상(51.7%)이 단골백화점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들이 식료품과 일용잡화를 살때는 동네가게에서, 가전제품과 가구 스포츠용품은 대리점에서, 의류는 백화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거주주부의 42.5%가 의류를 백화점에서 구입하고 있어 백화점선호경향이 가장 뚜렷했다. 식료품구입장소로는 동네가게(41.5%) 재래시장(36.7%) 쇼핑센터(12.0%)순이었고 일용잡화도 동네가게(48.5%) 재래시장(22.2%) 쇼핑센터(12.0%)순이었다. 가전제품과 가구를 구입할때 대리점에서 산다고 응답한 주부가 각각 57.9%와 53.4%로 가장 압도적이었다. 주부들이 식품을 살때 건강에 아주 민감하다는 점도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났다. 돈을 더주고라도 무공해식품을 사먹는다는 주부가 69.3%였다. 무공해식품을 구입하는 경향은 직업이 있는 주부(65.3%)보다는 직장생활를하지 않는 전업주부(71.4%)에게서 많았고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높은 주부일수록 이같은 경향은 크게 나타났다. 식품을 구입할때는 제조일자를 꼭 확인한다는 주부가 95.2%나 됐다. 큰 차이는 아니지만 젊은 주부(20대:98.9%)일수록 제조일자확인에 더욱 민감했다. 4명중 3명꼴인 74.5%가 음료나 우유등을 살때 무가당이나 저지방인지를 확인하고 사는 편이었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고졸이하 71.9% 대재이상 81.3%) 무가당 또는 저지방여부를 확인하는 경향이 높았다. 물건을 살때 수고가 되더라도 싼곳을 찾아서 산다는 주부가 71.8%나 되 주부들의 알뜰구매경향이 뚜렷함을 보여줬다.[[[ 결제수단 ]]] 6대도시에 거주하는 주부들은 4명에 한명꼴로 신용카드와 백화점카드를 둘다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결제하는 신용카드나 백화점카드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27.5%의 응답자가 둘다 갖고 있다고 응답했다. "신용카드만을 갖고 있다"는 주부는 20.2%였고 "백화점카드만 갖고 있다"는주부는 7.3%였다. "둘다 없다"는 응답도 45%나 됐다. 결국 신용카드와 백화점카드의 보유율은 각각 47.7%와 34.%라는 계산이 나온다. 백화점카드의 보유율은 연령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신용카드의 경우는 젊은 주부일수록 보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신용카드 보유율은 50대 37.2%, 40대 46.1%, 30대 48.4%였으며 20대는 절반이 넘는 60.7%가 신용카드를 갖고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신용카드 보유율을 보면 서울이 53.9%로 가장 높았고 광주가 47.1%로 뒤를 이었다. 그 다음은 부산(45.0%) 인천(42.3%) 대구(38.4%) 대전(26.5%)등의 순이었다. 백화점카드의 경우는 광주가 44.1%로 보유율이 가장 높았고 서울이 38.0%,부산 34.0%, 대구 32.3%, 인천 30.5%등의 순을 기록했다. 대전은 11.8%에 그쳤다. 카드를 소유하고 있는 주부를 대상으로 카드결제 선호도를 물은 결과 카드보다는 현금결제를 선호한다는 대답이 64.5%로 높게 나왔다. 이같은 현금선호 경향은 연령이 높을수록(20대 60.3%, 50대이상 68.2%),소득수준이 낮을수록(연소득 3천만원이상 50.0%, 1천2백만원이하 74.5%) 두드러졌다.[[[ 물가인식 ]]] 주부들 10명중 8명은 우리나라 공산품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공산품 가격은 어떤 수준이라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대도시 주부들은 전체의 65.8%가 "비싼 편"이라고 응답했다. "아주 비싸다"고 대답한 주부도 12.3%에 달해 모두 78.1%가 공산품에 대한 체감물가가 비싸다고 답했다. 이에 반해 "보통"이라는 의견은 20.2%였으며 "싼 편"이라거나 "아주 싸다"는 응답은 각각 1.2%와 0.5%에 머물렀다. 그렇다면 "공산품가격이 어느 정도 싸져야 적당한 가격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물어봤다. 그 결과 가장 많은 30.8%가 "10% 내외"라고 밝혔다. 그 다음은 "20%이상"(23.1%)였으며 "20%내외"가 18.6%, "5%내외"가 14.4%,"15%내외"가 13.2%등이었다. 결국 10% 이상 공산품 가격을 내려야한다는 의견이 전체의 85.7%를 차지한셈이다. 주부들은 그러나 "물가를 끌어내리기 위해 수입을 늘려야 한다"는 데는 대체로 반대했다. "외국물품을 수입해서라도 국내공산품 가격을 낮춰야 한다"는 응답은 23.9%에 불과했고 "우리나라의 산업발전을 위해 비싸더라도 수입을 억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76.1%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결국 공산품 가격은 상당히 비싼 수준이며 10%이상 싸져야 하지만 수입확대는 안된다는 얘기다. 이같은 경향은 연령별로는 별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교육수준별로는 대졸이상(65.2%)에서보다 고졸이하(80.1%)에서 두드러졌다. 소득수준별로는 소득이 낮을수록 "수입을 억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연소득 1천2백만원이하의 경우 82.3%가 수입확대를 반대했으나 3천만원 이상은 상대적으로 적은 64.3%가 수입을 억제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6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