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8일자) 소국을 이웃으로 가진 불운
입력
수정
한국인더러 일본과 일본인에 대해 좋은 감정을 가지라고 요구한다면 억지다. 수천년 선린으로서의 교접사 보다는 불행히도 너무 잦고 깊은 피침의 상처를 일방적으로 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되도록이면 일본의 나쁜 점이 아니라 장점을 강조하면서 그들에게서 배울 것은 배우자고 권장까지 하려 함은 두 나라가 싫다고 멀리 이사갈수 없는,그래서 두고두고 비벼대며 지낼수 밖에 없는 지리조건에 연유한다. 그러나 일본이 소위 종전 50주년을 맞아 시대를 정리한답시고 찧고 까부르는 근간의 행동거지를 건너다 보면 너무도 한심스러워 저런 인종과 어찌 맞대고 지낼지가 걱정거리로 떠오른다. 더구나 세계에서 그런 나라가 경제대국 나아가 선진국 일등국대우를 받는지,스스로 한술 더떠 "노"할수 있는 일본 운운하며 국제정치 대국으로 격상,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피선을 바라는지 의아스럽다 못해 딱한 생각마저 든다. 사회당소속 무라야마 총리의 종용에 이끌려 연립 3당이 6일 합의해낸 전후처리 마무리 명목의 결의안이란 것이 한마디로 자기기만이고 사람말 같지 않다. 그 직전 한.일 합방이 평화적으로 체결된 협정이라는 와타나베의 망언은 그 변설의 황당함이 비길데 없지만 한 개인의 말꼬리를 더이상 잡고 늘어질 생각은 없다. 그러나 곧 일 국회에서 채택 공표될 여3당 합의 결의안은 그냥 넘길수 없다. 어떤 반성 결의를 하든 그들이 알아서 할 일을 제3국인이 왈가왈부하는 것도 어색한 일면이 없진 않다. 하지만 엄격히 말해 그 문제에 관한한 한국인은 제3자가 아니다. 어느면에서나 제1 피해당사자다. 연초 사회당 주축으로 부전결의안 채택움직임이 태동할 때만 해도 태평양전쟁 같은 전쟁의 도발을 다시는 범하지 않겠으며 그 와중에서 한반도의 식민착취등 인국이 입은 피해에 그 잘못을 뉘우쳐 사죄한다는 올바른 방향이었다. 우리는 은근히 한국전이 한 도약의 계기가 된 경제부흥으로 저만큼 국력이 커진 일본이 이제는 도덕적으로도 대국이 되려나 보다 하는 기대,그래서 호전 군국이 이웃에서 사라지려나 보다 하는 안도를 함께 가지고 지켜 보았다. 그러나 역시 그런 기대를 충족시키기에 일본인의 수준은 높지 못했고,일본이 대국되기는 힘든 나라임을 통감한다. 문맥에서 사죄나 부전이란 단어를 묘하게 회피했고 침략과 식민지 부분에 "다른 열강이 한 것처럼"이라는 사족을 붙였다고 해서만이 아니다. 저지른 과오를 떳떳하게 시인하는 심성이 있어야 반성도,사죄도,결의도 가능한 법이다. 침략식민지배를 시인하면서 남들이 하니까 자기들도 했다는 투의 선언은 비겁한 책임회피외에 다름 아니다. 벚꽃에 빗대서 자랑하던 그들의 소위 "앗사리"기질은 날조된 자화자찬임이이 기회에 드러난 셈이다. 더구나 독일의 일관된 솔직.정중.진지한 사과와 수백억마르크의 실질적 보상과는 너무 대조적이다. 그들이 과거 사표를 삼은 독일에서 겉만 배웠지 속은 놓친 과오를 인국 사람자격으로 같이 슬퍼한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6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