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산업] "휘발유도 질이 있다"...제품 차별화
입력
수정
정유회사 사장이 주유소 현장에 나가 고객을 맞이하는 행사가 자주 연출되고 있다. 또 정유회사의 신입사원이면 예외없이 계열 주유소의 주유요원으로 며칠동안 수습경력을 쌓는 것이 필수과정처럼 됐다. 지난80년대까지만해도 이같은 현상은 보기 힘들었다. 정유산업의 시장이 공급자시장에서 바이어스마켓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정유회사의 경영전략도 바이어스마켓에 적응하는 것을 "기본"으로 삼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앞으로 더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내의 석유제품 시장이 바이어스 마켓으로 변해온 점은 몇가지 통계로도 간단히 간파할 수 있다. 국내최초의 정유공장인 울산정유공장이 가동된 지난64년당시의 정제능력은 하루 3만5,000배럴. 이후 80년의 정제능력은 64만배럴로 약 16년사이에 생산능력이 18배 늘어났다. 한편으로 소비량은 같은 기간동안 하루 2만배럴에서 49만8,000배럴로 25배 증가했다. 한마디로 소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생산은 산술급수적으로 뒤따라 갔다는 얘기다. 공급자가 절대 우위에선 시장이 펼쳐졌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특히 70년대 두차례나 있었던 오일쇼크도 공급자시장을 조장했다. 가수요까지 겹쳐 석유제품을 확보하는데 혈안이 된 상황에서 정유업은 완벽한 독점적인 지위를 누릴 수 밖에 없었다. 80년이후에는 이러한 시장에 조금씩 변화가 일어났다. 경제개발이 속도조절에 들어가면서 석유소비량 증가속도가 둔화됐다. 80년이후 94년까지 우리나라의 하루 석유소비량은 3.4배 늘어나는데 그쳤다. 같은 기간중 생산능력은 2.6배 늘어나 생산과 소비가 균형을 맞추어 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여기에 후발주자인 쌍용정유(80년에 공장가동)와 현대정유(극동정유에서 93년 새롭게 출범)가 탄생하면서 휘발유를 중심으로 치열한 마켓셰어 전쟁이 본격화 됐다. 시장의 기조가 바이어스 마켓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따라 정유업체들은 경쟁적으로 고객만족경영을 내세우며 기업체질을 바이어스마켓에 적응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품질제일주의를 표방하고 나섰다. 지난70년대엔 휘발유는 어느 회사제품이건 상관없이 품질이 동일하다고 업계가 스스로 평가하던 시대와는 딴판이다. 회사들마다 품질관리팀을 발족시키고 계열주유소를 순회하면서 품질을 체크하는 품질경영을 펼친다고 요란하다. 본사임원들이 직접 정유공장에 내려가 공장보수에 참가하는등 예전같으면 생각지도 못할 사내행사가 요즘 정유업체에서 벌어지고있다. 품질을 강조하기 위한 선언적인 의미를 두기 위해서다. 지난해 극에 달했던 주유소 쟁탈전도 기본적으로 바이어스 마켓에 적응하기 위한 과정에서 불거진 일종의 부작용으로도 볼수있다. 정유회사들이 이미지제고에 적극 나서는 것도 체질 개선을 위한 몸부림으로 비추어진다. 현대정유와 한화에너지가 주유소의 이미지통합을위해 주유소브랜드를 도입했고 호남정유는 휘발유에 상표를 도입했다. 유공은 기존 상호로 선발주자로서의 이미지 다지기에 주력하고 있고 쌍용정유는 옥탄가를 주제로한 품질논쟁을 제기하기도했다. 정유회사들이 환경문제에 대응해 탈황시설같은 고도화설비 확충에 적극성을 보이는 것도 바이어스마켓에대한 적응과정으로 비춰지고 있다. 정유업계에서는 바어어스마켓에대해 어떻게 적응하느냐는 것과 고객만족경영의 성공을 동일한 언어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