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포지엄] '21세기 주거생활의 질'..논문발표 : 안건혁

****************************************************************** 주택공사가 부설 주택연구소 주관으로 19-20일 서울르네상스호텔에서 제2회 국제학술심포지엄을 열고있다. "21세기 주거생활의 질"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아시아 유럽 미국 호주 등 8개국에서 저명한 학자와 실무자 27명이 발표자로 참석,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각국의 정책적 노력과 경험,주거환경계획기법,다양한 주택개발전략,고품질주택의 생산 및 유지관리체계,양질의 주택건설을 위한 주택관련법규제 및 지원체계,환경보존과 환결공생을 위한 관련기술 등 세부적인 과제를 논의했다. 발표논문을 요약소개한다. ****************************************************************** [[ 대도시권 주거지 개발밀도 추이 ]] 안건혁 한국의 대도시주거지 개발밀도는 70년대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있다. 개발밀도(인구밀도 건축밀도등)가 증가하고있는 도시화의 급진전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 잇달아 건설되고있기 때문이다. 서울 부산등 국내 6대도시의 인구는 지난 30년간 약 4배로 증가했다. 반면 면적은 2.7배 늘어나 인구밀도는 48인/ha에서 70인/ha으로 1.5배 상승했다. 고밀화된 인구를 제한된 공간에 수용하기위해 자연스럽게 등장한것이 공동주택이다. 아파트는 지난 70년대초 국내 주택건설산업에 처음 도입된이후 빠르게 확산되면서 지금은 대도시의 경우 공동주택의 비율이 전체주택수의 50%에 달하고있다. 주거지 전체의 밀도도 공동주택 비율의 상승과 함께 고밀화되고있고 시가지도 재개발 재건축등으로 고밀화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고밀화의 원인은 크게 4가지로 꼽을수있는데 가장 주된 요인은 토지공급의 제약과 가격상승이다. 다음으로 주거환경의 질에 대한 인식부족 물가정책의 볼모가 되어있는 주택정책 건설업체들의 개발이익 극대화추구등이다. 이같은 고밀개발은 경제개발주의자들이 옹호하는 것으로 이들은 좁은 국토자원과 많은 무주택자등을 감안할때 고밀화는 당연하다고 주장하고있다. 하지만 고밀화에 따른 폐해가 늘어나면서 저밀화개발을 제안하는 건축가들이나 도시계획가 환경주의자들이 늘고있다. 주거환경수준은 소득과 비례하며 소득이 향상되고있는 상황에서 환경의 질도 향상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요컨대 고밀개발과 주거환경의 질을 조화할수있는 정책이 필요한데 이것이 적정개발밀도의 설정이다. 적정개발은 주민들의 인식하는 적정범위지역의 총량적인 개발밀도를 유지하면서 지구여건에 따라 고밀개발과 중저밀개발을 가능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건축밀도는 산정방법에 달라질수있어 총량적인 개발밀도가 중요하다. 우선 총량밀도를 판단할수있는 지역범위는 중소도시의 경우 시가지전체,대도시는 구단위의 대생활권정도(인구 30만명기준)가 평가단위로 될 것이다. 이러한 개발여건에서 주민들의 익명성,공동체의식결여,열린공간및 휴식공간 부족,소음공해등 고밀화의 폐해를 어떻게 최소화하느냐가 관건이다. 대처방안으로는 우선 고밀지역을 일정부분에 한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방법이 있다. 신도시와 대규모개발지에 비교적 높은 용적률을 인정하면서도 충분한 공동휴식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단지내부의 설계기법을 통해 여러가지 문제를 완화하는 방법이 있다. 예컨대 주차빌딩을 만드는등 토지를 입체적으로 이용하는 것도 한 방안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