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생산성 크게 높아졌다 .. 생산성본부 상장561사 분석

지난해 국내 상장기업들의 종업원1인당 부가가치생산액은 3천9백24만6천원으로 93년에 비해 17.04%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93년 13.26%로 낮아졌던 부가가치생산성 증가율도 17.04%로 다시높아졌다. 또 전체매출액은 91년이후 가장 높은 18.02%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매출액이익율은 1.97%, 경상자본이익율은 8.90%, 자기자본경상이익율은 9.28%로 91년이후 최고수준을 나타내 국내기업의 생산성과 수익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생산성본부는 23일 5백61개 상장기업(금융 보험 관리대상종목제외)을 대상으로한 "상장기업의 부가가치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국내기업들의경쟁력이 지난 91년이후 꾸준히 강화됐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상장기업의 부가가치생산액을 업종별로 보면 전기가스 증기업이 1인당 8천3백91만8천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건설업(5천6백7만1천원) 운수창고 통신업(5천1백39만2천원) 도소매 소비자용품수리업(3천5백99만9천원)등의 순이다. 부가가치생산성 증가율에서는 기타공공사회 개인서비스업이 지난해 75.8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어업(46.50%) 제조업(22.21%)등의 순으로 평균인 17.04%를 웃돌았다. 한편 제조업의 부가가치율(부가가치생산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것)은 20.28%인 것으로 집계됐다. 부가가치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변동추이를 보면 노동장비의 경우상장기업 평균으로 13.8%가 늘었으며 자본생산성증가율 2.7%, 부가가치율 증가율은 0.1%를 기록했다. 생산성본부는 국내기업들의 부가가치생산액이 이처럼 증가하고 부가가치생산성 증가율이 높아진 것은 지난91년이후 가속된 기업들의 경영합리화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자동화투자를 늘려 인건비부담을 축소하고 금융비용과 관리비등 간접비를 줄였기 때문이란 얘기다. 생산성본부는 이같은 부가가치생산성 향상으로 일본과의 격차도 크게 좁아졌다고 밝혔다. 일본의 94년 통계가 나오지않아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전기전자업체들의 부가가치생산성 증가율을 비교해보면 일본업체들의 부가가치생산성증가율이지난 91년이후 계속 낮아져 93년에 마이너스 1.2%를 기록한데 비해 국내가전업체들의 부가가치 생산성증가율은 지난해 무려 38.01%에 달했다는 것이다. 자동차업종의 경우도 비슷하게 조사됐다. 한국의 현대자동차는 지난 93년에는 부가가치 생산성증가율 15.26% 94년에는 31.62%를 나타냈다. 이에반해 일본 도요다 자동차 도쿄본사는 지난 93년에 마이너스 9.67% 나고야 본사는 같은해 마이너스 15.10%로 각각 집계됐다. 생산성본부는 그러나 아직은 국내산업이 고부가가치 구조로 전환됐다고 볼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제조업을 중심으로한 설비자동화화 첨단제품의 확대를 더욱 가속해야한다는설명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