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 연구실적, 한곳에 모아 일반 공개..'정보은행' 운영

한국과학기술원, 산업기술정보원등 각종 연구소가 각고의 노력끝에 내놓은연구실적이 유통체계의 미흡으로 사장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연구논문 책자등이 일부 특정 기관이나 인사에게만 전달될 뿐 정작 이를 필요로하는 기업, 학생, 일반인등에게는 배포되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키위해 각종 연구소의 연구실적을 한곳에 모아 이를 수요자에게 일괄 공급하게 되는 "연구정보은행제도"를 내년초부터운영할 계획이다. 정부는 일단 산업및 과학기술에 관한 국책연구소의 연구실적을 대상으로 시작, 이를 점진적으로 모든 국책연구소및 희망하는 민간기업등의 연구실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연구정보은행 역할을 맡게될 기관은 통상산업부 산하의 산업기술정보원과 과기처 산하의 연구개발정보센터.정부는 국책연구소가 연구논문이나 책자를발표했을 경우 이들 두 기관에게 책자를 의무적으로 제출토록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의 보조를 받은 민간연구기관의 연구실적도 배치하게 된다. 연구정보은행은 각 연구소가 제출한 연구실적을 데이터베이스화해 목록을 수시로 공개하고 민간기업이나 일반인이 원할 경우 이를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복사비, 보관료등 실비차원의 정보사용료를 부과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이 제도의 가장 큰 잇점은 연구실적의 유통체제 개선에 따른 고급정보의 공급 확대.산업연구원의 경우 현재 연구실적을 정부기관및 학교도서관, 언론사등 3백여곳에 한정 배포하고 있다. 그외의 기관이나 일반인은 무슨 연구자료가 나왔는지 조차 알기 어렵다. 연구정보은행 제도는 이같은 사회적 손실을 거의 완벽하게 해소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다른 잇점은 고급정보의 체계적인 축적에 있다. 이와관련, 총리실의 한 고위 관계자는 18일 "연구정보은행이 설립되면 국책연구소가 매년 배출하는 약7천건의 연구실적이 한곳에 쌓이게 된다"며 "이를 주제별 또는 연구소,연구자별로 분류해 전산처리하게 되면 정보의효율성을 높일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연구정보은행제도를 민간 연구소로 확대할 경우 커다란 사회적 자산이될수 있을 것이라는게 총리실 관계자의 설명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0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