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면톱] 지하철 강동구간, 이달말 개통 불투명

서울시 지하철건설본부와 2기 지하철운영 주체인 도시철도공사가 2기 지하철(5~8호선)중 5호선 강동구간(고덕~왕십리 15km)의 개통시기를 놓고 마찰을 빚고 있어 이달말 개통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20일 서울지하철건설본부와 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이같은 마찰은 이 구간 14개 역에 설치된 역무자동화설비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잘못 작성돼 시험가동에서 일부 설비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않는데 따른 것이다. 특히 발매기는 지폐나 동전을 넣을 경우 거스름돈이 정확히 나오지 않아 결산 회계처리등의 기능이 완전히 마비된 상태이다. 지하철건설본부측은 이에따라 이 설비를 제작한 영국 TTSI사의 전문가 15명을 불러 수정된 소프트웨어를 입력,정상가동여부를 재점검하고 있으며 당초 예정대로 오는 30일 5호선 강동구간의 개통을 강행하겠다고 밝혔다. 지하철건설본부 관계자는 이에대해 "지난달 조순서울시장에게 개통예정일을보고한 상태여서 30일 개통은 필연적"이며 "필요한 경우 자동역무화설비없이 개통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에비해 도시철도공사측은 2기 지하철 강동구간의 개통시기를 늦출 것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자동역무화설비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운영권을 인수할 경우 회계및 결산처리 기능미비로 인해 운영초반부터 업무자체가 마비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우려된다는 것. 게다가 완벽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설물을 인수해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공사측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에 30일 개통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들은 또 재작성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점검해야하며 지하철 이용자가 발매기로 승차권을 사는 모든 경우에 대한 실행시험을 거쳐야하고,또한 역무원들이 이 설비에 적응하는 훈련기간까지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기간 연기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따라 지하철건설본부와 도시철도공사간에 인수시기에 대한 합의가 2~3일안에 도출되지 않으면 5호선 강동구간의 개통지연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5호선 강동구간의 역무자동화설비는 지난 92년 영국 TTSI사가 4천6백만달러에 납품한 것으로 승차권,정액권,할인권을 발매기로 판매하는 한편 모든 회계와 결산을 자동처리하는 무인 자동화설비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0월 21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