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투자 이렇게] 채권 대중화시대 .. 절세상품 개발 "붐"

김국우 지난해 채권시장은 올해부터 실시되는 금융소득종합과세의 영향으로 시중 부동자금이 대거 몰리면서 주식시장의 침체와는 대조적으로 대활황을 구가했던 한 해였다. 95년11월20일뷰토 살삳한 3단계 금리자유화 완결 조치로 보통예금등 요구불예금을 제외한 은행 및 제2금융권등의 모든 수신금리가 자유화됐다. 이에따라 금융기관간 금리의 무한경쟁시대를 예고하면서 절세형 신상품개발붐이 일어났고, 기업이나 개인들도 금리변동에 대한 민감한 반응을 보이게 됐다. 시중실세금리를 대표하는 회사채(3년만기 은행보증채 기준)수익률이 95년초높은 통화증가율과 자금사정 악화로 15.50%까지 상승하기도 했으나 6월을 고비로 수출과 설비투자가 둔화되면서 시중자금이 여유를 보임에 따라 하락하기 시작, 12월14일에는 93년 5월이후 최저수준인 11.38%까지 떨어졌다. 특히 발행이율이 5%로 낮고 종합과세에서 제외되는 5년짜리 국민주택 1종 채권이 불티나게 팔리면서 품귀현상까지 보여 지난 12월18일에는 한자리 수인 8.75%까지 하락했다. 이는 사상최저치의 기록이다. 정부도 이러한 금리하락 추세에 맞춰 처음으로 7년 및 10년만기 국채발행을크게 확대, 세금회피성 자금의 제도금융권 이탈을 적극적으로 막아 금리하락과 함께 채권시장 활성화를 유도했던 점은 괄목할만하다. 만기 5년이하 국채의 경우 복리로 계산된 이자를 만기에 후급하는데 비해 7년 및 10년국채는 장기채로 상환부담이 큰 점을 감한 6개월마다 이자를 지급하는게 특징이다. 또한, 지난해는 채권딜러제도 활성화, 증권사간 호가정보 중개기능 도입,소액국 공채매매 거래소 집중, 채권집중예탁의 의무화등 채권시장 발전방안이 마련됐으며, 9월25일부터는 은행에서도 국공채 판매를 개시했으나 판매실적은 부진했다. 올 4월부터는 은행에 이어 보험사도 국공채 판매가 가능하게 됐다. 95년도 증시를 통한 자금조달 규모는 약 28조, 이중 회사채가 전년보다 약 16%늘어난 22조원이다. 올해 채권발행규모는 국채 6조6천억, 금융채 19조2천억, 특수채 15조8천억,통화조절채 47조7천억, 회사채 23조원등 총 112조4천억원으로 지난해보다 약 14%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 채권시자은 금융전문가들만이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되던 시대에서 거액전주는 물론 샐러리맨이나 소액 서민들까지 국민모두가 투자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채권대중화" 시대로 모습이 크게 바뀌고 있는 것이다. 올해에도 저금리 정착과 더불어 채권시장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