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화장품"오픈프라이스제" 도입에 소극적 입장보여
입력
수정
화장품의 권장소비자가를 폐지하고 판매업자가 가격을 표시하는 "오픈프라이스제"도입 움직임이 주춤거리고있다. 29일 화장품업계와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업계는 국산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자신뢰를 얻기위해 오픈프라이스제 도입이 시급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주무부서인 보건복지부는 소비자들의 거부반응을 내세우면서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있다. 업계는 제조업체가 임의로 가격을 결정하는 권장소비자가제도가 시장기능을 왜곡,덤핑현상이 판을 치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고 보고 하루빨리 가격제도를 개선해 "거품가격"을 무너뜨려야한다고 주장하고있다. 업계는 판매업자가 자율적으로 가격을 표시할 경우 품질에 비해 턱없이 비싼 제품은 도태되고 가격일변도의 경쟁이 사라지며 제조업체와 도소매업자의 경영이 개선돼 품질제고와 소비자신뢰회복에 전기가 될것이란 주장이다. 복지부는 이에대해 소비자들이 가격정보를 제대로 얻을수없고 소매점주들이 일일이 가격을 부착하도록 강제하는게 어려우며 수입화장품 폭리를 취하게 될것이란 이유등을 들어 문제점이 많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약품유통과 이영찬서기관은 "일물다가현상에 대해 아직은 소비자들이 거부반응을 나타내고있어 가격표시제의 전면 개선은 많은 문제를 안고있다"며 "화장품가격표시에 관한 한 조항을 고치기위해 약사법을 개정하는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