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산업] 국민소득 1만달러 .. 성숙기를 대비한다
입력
수정
다른 어떤 산업보다도 소득수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소득이 올라갈수록 국민들은 삶의 질에 눈을 돌리게 되고 이는 보험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게 마련이다. 암보험상품 하나만 지난해 300만건이상 팔리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운것이나 과거 "보험=적금"이란 인식아래 보험사의 간판상품역할을 맡았던 저축성보험이 보장성상품한테 그자리를 서서히 내주는 경향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70,80년대 개발연대에 풍미하던 규모의 경제가 선진경제구조로 이행하면서 안정된 체제속에서 환경문제등 삶의 질을 강조하기 시작하듯. 1만달러시대 보험산업이 제2도약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여기저기서 발견된다. 우선 고객들과 직접 접촉, 영업의 성패를 가름하는 생활설계사들의 질이 급격히 좋아지고 있다. 맞벌이부부의 증가등 사회문화적인 영향이 이들 계층의 배출요인이라면 설계사를 전문직종으로 만들어가는 업계의 노력과 보험에 대한 인식 향상은이들을 흡인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설계사의 학력수준은 지난90년 고졸이상 비율이 91.1%에서 92년에는 94.5%,94년에는 96.3%로 상승추세를 보이는 것도 이같은 여건변화에서 기인한다고볼수 있다. 새로운 수요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미 암보험은 대표적인 보장성보험상품의 자리를 차지했다. 의료보험을 보완해 주는 건강보험, 노후생활을 보장해 주는 연금보험등이 향후 보험시장을 주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개인연금보험제도가 정착되면 현재 기업의 퇴직금제도도 기업연금의 형태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연간 3조원대에 이르는 종업원퇴직적립보험시장이 새로이 형성될 경우 보험업계는 새로운 도약기를 맞이할게 확실시된다. 특히 기업연금보험시장이 정착되면 사실상 전국민의 보험계약자화가 이루어지면서 파생될 보험수요도 엄청날 것으로 보험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소비자보호주의가 확산되면서 제조.판매업자의 잘못으로 생긴 불량제품을 회수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보상해 주는 이른바 리콜보험이나 지적재산권관련배상책임보험등 그전에는 생각지도 못한 새로운 보험상품군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같은 보험산업의 장미빛 전망도 보험업계 종사자들의 노력여하에 따라 상당히 다른 판도를 그려낼 가능성이 높다. 개방화 국제화시대가 진전되면서 선진 보험기법과 막강한 자본을 무기로한외국보험사의 국내상륙이 이어질 전망으로 있는데다 은행등 타금융권과의 경쟁도 불가피해지고 있다. 생.손보업계간의 격돌은 지난94년6월 개인연금보험제도의 도입이후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삼성 동부화재등 대형손보사들은 이미 중위권 생보사의 영업력을 추월하면서 급속한 속도로 생보시장을 잠식해 오고 있다. 올들어 생보업계가 "세계 6위"에 걸맞는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공익사업 사회봉사활동등을 강화하는 것도 따지고 보면 업계를 둘러싼 여건 변화에 정면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보험산업이 국민생활에 미치는 영향만큼 전체사회에 기여하고 이를 다시 업계 성장의 발판으로 삼기 위한 고도의 성장전략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국경제는 지난61년 1인당 국민소득 100달러에도 밑도는 수준에서 16년후인 77년에는 1,000달러, 다시 18년이 걸려 95년 1만달러에 달했다. 35년만에 1인당 소득이 무려 100배가 늘어나는 급성장을 기록했다. 국내보험산업도 이같은 한국경제의 비약적인 발전과 같은 궤를 그리며 성장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때문에 보험산업에 있어서도 1인당 국민소득 1만달러시대가 주는 상징성은 매우 크다. 각보험사들은 성큼 다가선 오는 2000년대 초우량보험사나 종합금융기관으로의 발돋움을 청사진으로 내걸며 경쟁력향상에 혼신의 힘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보험상품을 개발하고 어려움에 처한 가입자들에게 신속하고 충분한 보험혜택을 제공하는 보험사의노력이 초우량보험사를 보장하는 지름길이다. "보험원리에 보다 충실한" 보험사만이 갈수록 격화되는 경쟁시대를 헤치고강자로 부상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