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거짓 유서
입력
수정
"새가 죽을 때에는 그 울으소리가 구슬퍼지고 사람이 죽을 때에는 그 말이 착해진다"(조지장사 기명지애 인지장사 기언지선)는 말이 있다. 로나라의 맹경자가 문병갔을 때 죽음이 임박한 증자가 그에게 남긴 최후의 말이다. 이를테면 유언이었는데 범인의 유언과는 달리 죽음을 슬퍼하는 구석이나 잔소리 같은 당부는 전혀 찾아 볼수 없다. 군자답게 오로지 평생을 공부하며 깨달은 바를 진솔하게 전하고 있을 분이다. 그러나 세상에는 증자같은 사람들만 살았던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생애의 가장 불행한 기록이며 효력있는 기록인 유언장을 쓰면서도 다른 사람들을 통제하려 들었다. 저명한 영국의 철학자였던 제레미 벤담은 죽은뒤에도 자신의 중역회의를 주재해야 한다는 조건을 붙여 런던병원에 유산을 넘겨주었다. 그래서 의상을 갖추어 입힌 벤담의 유골은 중역회의실의 유리상자속에 92년동안이나 계속 앉아 있었다 한다. 이 세상의 부나 권력이 끝내 이겨내지 못하는 한계가 죽임이다. 그리고 죽음에 직면한 인간은 말로나 글로 무엇이든 남기려 든다. 영국의 풍자소설 작가인 새뮤얼 버틀러가 마지막 남긴말은 "수표장은 챙겼는가"였다. 시인 바이런은 말라리아에 걸려 죽어가면서 "자,이제부터 잠이나 좀 자 볼까"라는 여유를 보였다. 물리학자 퀴리부인은 방사능에 오염돼 죽음직전까지 연구에 몰두하다가 의사가 진통제 주사를 놓으려하자 "필요없어요"라는 말을 남기고 숨을 거뒀다. 풍자작가 조나단 스위프트는 죽어가면서 "구멍속에서 독살된 쥐처럼 나는 죽는다. 나는 나다. 나는 나다"를 되뇌였다. 미국의 유랑시인으로 신시의 대변자로 인정받았던 베이첼 린지는 피로와 환멸을 느낀나머지 "저 친구들은 나를 해치려고 했지.그래서 내쪽에서 먼저 해치운 것이다"라며 음독자살했다. 이처럼 이들이 최후로 남긴 말들은 꼭 선하다고는 할수 없다해도 거짓없이 솔직담백한 심경의 표현이었다. 최근 서울에서 일어난 "채권자토막살인사건"의 수사결과 범인이 채무자 부부인 것으로 밝혀졌다. 부인이 남편의 범행임을 털어놓았지만 이미 자살한 남편의 범행을 부인하는 유서가 문제가 되고 있다고 한다. "거짓유서"라는 것도 있을수 있는 것인지.유서말미에 "빚을 지고 살일이 못된다"고 써놓았다는데 "거짓유서"까지 남겼다면 이중의 하늘빚을 지는 결과가 된다는 것도 몰랐다는 말인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요즘세태라지만 "사람이 죽을 때는 그 말이 착해진다"는 증자의 말도 이젠 믿을수 없게 된것일까.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