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점 못할바엔 나눠 갖자" .. '빅4' PCS 연합추진 의미

4대 통신장비제조업체가 소유와 경영을 분리해 개인휴대통신(PCS) 사업에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함께 살기 위한 어쩔수 없는 선택"으로보인다. 이는 각자가 정보통신사업진출이라는 "염원"을 달성하는 것과 동시에 장비산업도 살릴수 있어 "명분과 실리를 모두 챙기는 묘안"으로 풀이되고 있다. 재계가 경영권을 갖지 않는 연합컨소시엄 구성에 나서리라는 예상은 4대기업간의 주도권 다툼을 사실상 조정할수 있는 방법과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점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때문. 4대그룹의 경우 제각각 연합컨소시엄을 주도, 최대주주로 참여하고 서비스지역도 노른자위인 수도권을 차지하겠다고 나설 것으로 예상돼 이해관계 조정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서다. 따라서 당장 특정기업이 주도하는 대신 4대기업이 모두 같은 자격으로 참여해 주도권 다툼을 피해가는 길을 택할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소유와 경영의 분리"에 대한 필요성은 크게 3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현실적으로 대안이 없다는데서 출발한다. 연합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최대주주자리나 수도권사업권등 "알맹이"를 차지하기 위해 4대그룹간의 다툼이 치열하다보면 성사 자체가 불투명해질 수가 있는 까닭이다. 이런 상황에서 "소유와 경영의 분리"가 연합을 성사시키되 핵심쟁점을 비켜가는 방법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일단 사업권을 따놓고 경영권등 "제몫"은 나중에 챙기자는 의도로 보인다. 둘째는 통신장비시장에 대한 욕심이다. 단독으로 PCS사업에 참여할 경우 경쟁사업자인 한국통신이 구매할 각종 장비시장에서 불이익을 받는 것보다 연합하더라도 계속 장비시장을 어느정도확보하자는 계산도 깔려 있는 때문이다. PCS를 독차지하지 못할바에야 장비시장이나 챙기자는 의도인 것이다. 사실 PCS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리지만 연간 매출은 기껏 1조원을 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비해 국내 장비시장은 2조~3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PCS사업의 경영권 못지 않게 탐을 낼만한 물량이다. 정부의 "뜻"도 이같은 공감대 형성을 부추기는 대목이다. 통신사업의 공공성을 살리기 위해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자는게 정부의 기본방침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정통부의 한관계자는 "데이콤 정관개정의 뜻을 잘보라"고 말했다. 데이콤이 정관을 개정, 사외이사제와 사장추천위원회제도를 도입해 소유와경영이 분리된 경영체제를 확립하겠다는 것은 정부와 재계 사이에 "소유와 경영의 분리에 대한 암묵적인 합의"가 이뤄졌다는 것을 시사하는게 아니겠느냐는 설명이다. 따라서 새로 선정할 PCS사업자 문제도 이 해법으로 풀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통신장비 비제조업체들의 연합컨소시엄은 지역을 나눠 서비스하는 방식으로 추진되고 금호 효성 한솔등의 최대주주자리및 수도권서비스권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내주부터 본격적으로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