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펄프가격 하락 불구 제지업 수익개선 어려워

국제펄프가격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국내 제지업계의 수익성은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일 증권 및 제지업계에 따르면 국제펄프가격 하락은 경기둔화에 따른 종이수요 감소에서 비롯된 것으로 2개월정도 시차를 두고 종이가격 하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국내 제지업계의 수익성 개선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전망된다. 따라서 원자재 가격하락을 재료로 한 최근의 제지주 강세는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으로 업종분석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특히 대한펄프 모나리자 동신제지공업등 위생용지 생산업체의 경우 펄프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여지는 크지 않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지역별로 소규모 업체가 산재해 있어 경쟁이 심한데다 현재 업계 전체가 가동률을 낮춰 수급균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률이 조금만 높아져도 공급과잉이 불가피하다는 게 그 근거다. 다만 한솔제지와 세풍등 신문용지 생산업체는 신문용지 수요급증으로 수익성이 호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쌍용투자증권은 신문의 증면경쟁등으로 올해 신문용지 수요량이 지난해(112만톤)에 비해 20%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따라서 신문용지 가격은 원자재 가격하락속에서도 현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것으로 내다봤다. 또 오는 97년부터 신증설 물량이 본격 출회되더라도 만성적인 신문용지난을겪고있는 동남아에 충분히 소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