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투자 수익률 '고졸이 대졸 앞서' .. KIET 보고서

여성대졸자의 교육투자수익률이 여성고교졸업자보다 오히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KIET)은 10일 "고학력화와 인력정책의 방향"이라는 보고서에서 여성의 경우 90년이후 고교교육의 투자수익률이 전문대학과 4년제대학의 투자수익률을 상회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육투자수익률은 교육을 받는데 드는 비용에 대해 교육을 받음으로써 얻게되는 금전적.비금전적 수익의 정도(이자율개념)로 표시된다. 교육정도에 따른 임금격차가 줄어들수록 상대적으로 수익률의 격차도 작아지게된다. 취업률로 여성대졸자는 지난해 50%에 불과한 반면 실업고졸업여성의 경우엔 90%이상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원의 정진화박사는 "대졸여성의 경우 임금수준과 취업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공학계열 졸업자수가 적을 뿐아니라 취업도 주로 단순직종에 편중돼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남성대졸자의 취업률도 70%에 불과하고 투자수익률도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고학력여성인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사회적 낭비라고 지적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