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 허와실] (51) 성장과 경제지수 .. 윤택

한 나라의 경제현실을 가늠할때 여러 경제지표들이 사용된다. 또한 경제지표들의 변동에 기초해서 경제정책들이 수립 또는 평가된다. 많은 나라에서는 국내생산자가 생산한 최종생산물의 총계로 정의되는 국내총생산(GDP)의 증가율로 경제성장률을 측정한다. 예를들어 GDP를 이용한 95년도 경제성장률은 90년이 기준연도일 경우 90년의 가격을 이용해서 94년도와 95년도 생산량의 가치를 계산한후 이들의 증가율로 측정된다. 한편 물가변동을 측정할 때는 개별상품가격들을 일정한 방식으로 가중평균해서 산출한 물가지수를 이용한다. 그런데 종종 이러한 경제지표들을 사용하는데 대한 문제점들이 지적된다. 첫째는 어떤 항목들을 포함할 것인가의 산정대상 선택과 관련된 문제이고 둘째는 어떻게 산정해야 하는 가의 산정방식이다. 첫째 문제의 대표적인 예는 GDP의 성장률이 국민들의 생활의 질이나 복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다. 이에대한 대안으로서 GDP에서 경제활동에 따른 환경오염 또는 파괴등의 비용을 차감한 그린( Green GDP )등이 있다. 소비자가 실제로 느끼는 체감물가와 지수물가간의 차이도 산정대상 선택과 관련된 한 예가 된다. 한편 산정방식은 관련된 문제는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을 계산할때 사용하는 기준연도와 관련이 있다. 경제가 성장하면서 새로운 상품이 지속적으로 개발된다. 또한 최근의 개인용 컴퓨터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서도 볼 수 있듯이 기존의 상품들도 기술발달과 생산성향상으로 품질이 빠른 속도로 개선되는 동시에 가격도 하락한다. 하지만 경제지표들은 기준연도의 가격을 사용하므로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국민총생산은 실제 경제수준을 과소평가하고 소비자 물가지수는 과대계상된다. 따라서 빠른 속도로 경제가 성장할수록 GDP의 성장률과 소비자 물가지수로 측정한 경제성장률이나 물가상승률은 과대 혹은 과소 평가될 수 있다. 윤택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