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촉진 기본계획] 전자주민증 98년 발급..10대중점과제

1.전자정부 - PC통신을 통한 각종 증명발급 및 전자주민등록카드제를 97년 시범 실시, 98년부터 본격 실시 - 공무원 1인당 1대수준의 PC를 보급 - 96년 정부 제1,2청사를, 2000년까지 제3청사를 비롯 입법.사법부 및 시도간을 연결하는 행정정보망을 구축하고 화상회의시스템 운영 2.교육정보화 - 1개교당 2실습실 규모의 PC 보급하고 2002년까지 7천여개 학교를 초고속망으로 연결 - 1개교 1인이상의 컴퓨터 전문교사를 확보하고 교원컴퓨터 연수프로그램 개발 - 교육격차 및 복식수업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97년까지 다양한 원격교육 모델 개발 3.학술.연구정보화 - 교육.연구전산망을 고속.대용량화해 상호연동시키며 해외학술망과 연결 - 국립도서관을 비롯 국회, 대학, 연구소도서관등을 분야별로 특화된 전자도서관으로 시범운영 - 박물관등 관련기관별로 추진중인 시스템을 통합, 전자문화관 모델 시스템을 구축 4.산업정보화 - 산업정보를 DB화해 초고속망으로 연결키 위해 97년까지 업종별 DB, 99년까지 산업관련 종합DB구축 - 중소기업의 제품정보를 해외에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상에 전시장 및 쇼핑센터를 구축 - 기업밀집지역에 초고속망구축을 우선 지원하고 산업정보망과 국내 행정망은 물론 해외정보망과도 연결, 국내외 전자상거래 정착을 유도 - 정부조달과 정부투자기관 조달등을 대상으로한 CALS(생산 조달 운영 시스템) 시범사업을 97년부터 99년까지 추진하고 중소기업의 CALS도입을 확산 5.SOC 활용 제고 - 96년 물류통합EDI(전자문서교환) 시범서비스를 실시하고 2000년까지 시스템 구축 및 상용서비스 실시 - 지능형 도로교통시스템(ITS)을 97년부터 연구개발해 2005년 시스템구축 완료 6.지역정보화 지원 -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를 연결하는 위성망을 구축, 평상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사시에는 안전관리망으로 활용 - 농림수산정보를 구축해 관련단체 및 농어민간 원활한 정보이용 및 농어민 소득증대에 기여 7.의료서비스 고도화 - 97년까지 PC통신을 활용한 진료예약시스템 개발하고 99년까지 지역보건 의료기관간 네트워크를 단계별로 구축해 전국의 모든 병.의원을 연결, 정보네트워크를 활용한 진료기록 전송시스템 개발 - 97년까지 병원정보 건강정보 입원환자정보등 의료정보를 DB화하고 S/W를 개발해 병원 의료보험조합 의약업체간 의료EDI실현 - 97년까지 보험자 보험자단체 상호간의 자격관리전산망을 구축하고 주민등록전산망의 주민이동정보와 연계활용, 98년까지 진료비청구 지급업무의 전산화완료 8.환경관리정보화 - 자동연속측정 및 무인측정시스템을 설치하고 초고속망으로 환경관련 기관을 연결, 환경관련자료의 효과적인 입수체제구축 - 대기 수질 폐기물 자연생태계등 4대 환경요소를 중심으로 종합환경DB 구축 9.국가안전관리 - 97년까지 중앙안전관리센터를 설립하고 99년까지는 광역단위지역에 안전관리센터 운영 - 재난.재해예방 및 상황처리시뮬레이션등 첨단 정보기술을 도입.활용해 안전관리정보시스템을 고도화 10.외교.국방정보망 - 99년까지 모든 재외공관을 연결하는 외교정보망 구축 - 2000년까지 국제조약정보 국제기구정보 영사업무등 모든 외교관련정보를 통합한 외교정보종합DB를 완성키로 하고 외교정보망을 인터넷등 외부 정보망과 연결 - 첨단정보전 시대에 대비한 선진 국방정보체계 구축및 국방CALS를 도입 - 전군 여단급이상 부대간 정보통신망 구축 및 LAN(구역내통신망)부설, 영상회의시스템 구축 등 국방정보통신망 확충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