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은행들, 적립식 목적신탁을 하반기 주력상품화
입력
수정
일부 은행들이 지난 상반기중 최고 인기상품이었던 가계금전신탁대신 적립식 목적신탁을 하반기 주력상품화하고 있다. 가계금전신탁은 수탁건별로 만기가 기산되는 반면 적립식 목적신탁의 경우 처음 불입한 날을 기점으로 만기가 정해지는 점이 다르다. 때문에 적립식 목적신탁은 만기 1개월전에 불입하더라도 정상배당률을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어 1년6개월로 신탁만기가 연장된 상황에서 단기로 자금운용을 하려는 고객들에 유리한 상품이다. 16일 금융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최근들어 적립식 목적신탁에도 월복리개념을 도입,배당률을 높이고 고금리 자산운용에서 이 신탁의 자금을 우선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이에따라 지난6월중 평균배당률(월복리식)은 적립식 목적신탁 연12.54%,가계금전신탁 연12.14%를 기록했다. 한미은행도 월복리로 계산되는 적립식 목적신탁인 "알뜰복리신탁"을 개발,종전의 가계금전신탁상품인 "로얄재테크신탁"의 만기자금들을 적립식 목적신탁으로 유도하고 있다. 한미은행관계자는 가계금전신탁의 규모가 하루평균 1억원~2억원이 줄고있지만 적립식 목적신탁은 10억원~12억원씩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외환은행도 "월복리자유적립신탁"을 시판,월복리계산을 통해 배당률을 종전보다 0.3%포인트정도 높여 신규가입분을 적립식 목적신탁으로 유치하고있다. 가계금전신탁과 적립식 목적신탁의 평균배당률(복리식)은 지난5월중 각각연12.14%,연11.39%였으나 지난6월중 연12.12%,11.78%로 차이가 좁혀졌다. 은행관계자들은 앞으로 타은행에서도 월복리개념등을 도입해 배당률을 크게 높인 적립식 목적신탁상품들이 대거 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