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이론 골프] 유연하게 '로봇스윙' 하라
입력
수정
다음은 최근의 "골프 대화록"으로 도움이 될만한 몇개를 간추렸다. .라운드후 곧고 바른 구질에 어마어마한 장타를 내는 A씨에게 동반자들이 "스윙개념"을 물었다. 대답의 골자는 "로버트 스윙"이었다. "나는 사실 레슨을 받은 적이 별로 없다. 미국 유학시절 TV에서 골프중계를 보며 선수들의 스윙모습을 보고 본 뜨려고만 애썼다. 그러더중 우연히 로버트가 스윙하는 것을 직접 보게 됐다. 볼을 테스트하는 기계였는데 그 장면을 보고 나는 골프스윙은 저 로버트가 최고란 생각이 들었다. 로버트는 몸체가 볼트로 고정된 채 팔만 "따 따 따 따"올리며 천천히 백스윙을 하고 다운스윙은 "착"하고 내려오며 볼을 쳤다. 치고난후 그 팔은 "휙"하고 뒷쪽으로 넘어갔다. 물론 로버트가 친 볼은 항상 곧고 길게 나갔다. 나는 그때부터 스윙할때마다 로버트를 떠 올린다. 로버트마냥 중심은 잡아두고 어깨만 완전히 돌리고, 백스윙은 천천히하며 다운스윙은 크게 뒤로 넘어가도록 치는 것이다. 로버트와 같이 하체의 움직임은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그러니까 "헤드 업"같은 "인간적 실수"가 없는 한 볼은 곧게 뻗어 나갔다" A씨의 얘기는 "로버트가 등장해" 신선하지만 원리는 새로울게 없다. 중심축이 고정되니 구질이 바른 것이고 어깨 턴을 완전히 해주니 장타가나는 것이다. "경직되지만 않는다면" 로버트 연상법도 괜찮을 듯. ."스코어 관리에서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에 대해 B씨가 말했다. "버디보다 귀한 보기를 이해하는 것이지. 싱글핸디캐퍼는 물론 평균 85타이하를 치는 골퍼들은 더블보기나 트리플보기를 하는 것이 가장 치명적이야. 이 얘기는 버디를 하나 잡는 것보다 더블보기를 안하는 게 훨씬 스코어관리의 핵심이라는 뜻이지. 따라서 나는 버디 두세개보다 더블보기 없는 스코어를 가장 좋아해. 아마추어골프에서 더블보기가 없다는 것은 기술적, 전략적, 심리적측면에서 그날은 거의 완벽히 쳤다는 의미아닌가" ."어떤 골프친구들이 좋은 동반자인가"에 대해 C씨가 말했다. "어느날 나는 죽도록 골프치기가 싫은 날이 있었어. 새벽까지 술을 마셔야 되는 바람에 거의 기다시피하며 골프장에 나온날이야. 동반자들도 내 얼굴색을 보더니 혀를 차더군. 그런데 동반자중 한명이 지나가듯 말하더군. "오늘 내 목표는 75타야. 자네들도 알아서 치게". 그 순간 나는 정신이 번쩍 들었어. 그냥 돌아갈수는 없고 치긴 쳐야 하는데 컨디션 나쁘다고 허덕이면 나만 못난 사람이 될 것 같았어. 그래서 애초의 자세와는 달리 열심히 쳤지. 난 "정신을 차리게끔 한" 그 친구의 의도를 알아. 언제 어디서나 골프에 열정을 품게 하는 그런 친구들이 좋은 것 아닌가" .D씨는 "최고의 골프친구"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드라이버샷은 존 데일리만큼 치고 퍼팅은 비기너같이 하는 친구가 세계 최고지. 드라이버 잘 쳐서 속 시원하게 해줘 좋고 그린에서는 3퍼팅, 4퍼팅하며 지갑 열어 주니 그 보다 더 좋은 친구가 어디 있겠는가"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