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78% "대북한 교류 희망" .. 기협, 실태 조사
입력
수정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대북경제교류를 희망하고 있으며 합작투자보다는 단독투자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협중앙회가 최근 74개조합 2백98개업체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남북경제교류 희망실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78.1%인 2백33개업체가 향후 2년내에 대북경제교류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업체의 투자진출희망동기는 81.5%가 인력난 인건비상승을 꼽아 중소기업의 심각한 인력난을 반영했고 그다음으로 내수시장개척(36.2%)원자재수급(25.25)등을 들었다. 교역형태는 53%가 반출입을, 29.8%가 반출만을, 12.1%가 반입만을 희망했으며 투자진출형태는 전체의 54.7%가 단독투자를 원했다. 교역및 투자진출희망분야를 업종별로 분류해보면 조립금속 기계장비분야가74개업체(24.8%), 기타 제조업 68개업체(22.8%), 전기 전자 통신분야 47개업체(15.7%), 섬유제품 33개업체(11.0%), 비금속광물제품 16개업체(5.4%)등의 순이다. 기협중앙회는 이번 조사결과를 계기로 실질적으로 북한경제에 더 많은 도움을 줄수 있는 중소기업위주의 대북경협정책을 추진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키로 했다. 중소기업은 그간 대기업위주의 대북경협추진과 정보망구축으로 대북 정보취득에 한계가 있어 왔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