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프로, 올들어 상금 평준화 '뚜렷'..10위권 들어야 성취

.올시즌 마지막 공식대회인 지난주 신한오픈때 남자프로 몇명과 얘기를 나눠보니 모두들 한 숨을 내쉬고 있었다. 다 같은 프로골프이지만 유독 금년엔 남자프로골프가 여자프로골프에 모든면에서 역전 당하고 있기 때문. 상금을 집계하는 대회숫자도 남자는 11개에 불과하지만 여자는 14개로 3개대회나 더 많고 상금면의 격차도 눈에 띄게 벌어지고 있었던 것. 금년들어 여자프로골프는 유공초청대회가 창설됐고 한주엘레쎄오픈이 부활됐지만 남자는 패스포트오픈과 삼성매스터즈 등 2개대회가 무산됐다. 쌍용챌린지 (10월3~5일)와 필립모리스대회가 신설됐으나 그 대회는 일부 선수만이 출전하는 특별이벤트로 상금집계와는 관계가 없다. 이러다 보니 여자는 박세리가 2억원돌파여부로 시끄러운데 남자는 1위 최경주의 상금이 고작 1억4,000만원대에 그치는 초라한 모습이 되고 말았다. .지난해 상금랭킹 1위인 최상호가 2억원을 돌파한데 비해 올 남자프로들의 이같은 상금 하향화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은 우승상금 배분율이 달라졌다. 지난해까지는 스폰서들의 "우승상금 돋보이기"로 총상금의 20~22%를 우승상금으로 책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국제적 관행대로 18%를 우승상금으로 정하는 대회가 늘어나 11개대회중 7개대회가 총상금의 18%를 우승상금으로 배분했다. 우승상금 비율이 정상화되면서 1위의 상금총액은 그만큼 줄어들 수 밖에없는 것. 여기에 중복우승자가 한명도 없다는 점이 상금 평준화를 가져왔다. 여자는 박세리, 김미현 등의 다관왕시대로 상금을 몰아간 반면 남자는 11개 대회우승자가 각기 다르며 상금이 찢어졌다. .이상의 객관적요인이 존재함에도 남자프로들은 자존심이 꽤 상하는 모습이다. 대회수나 랭킹1위상금의 여자우위현상은 다른 어느나라에도 없는 일이고 협회의 운영능력도 꽤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 드러내 놓고 말하지는 않지만 그들은 이 모양을 만든 협회 (KPGA)의 아이디어와 비지니스적 능력에 회의감을 품고있다. 골프대회증가가 시대적 추세임에도 불구, 그 열매가 여자쪽만 향하는데 따른 불만이다. 여자대회가 늘어나는 것을 탓하는게 아니라 왜 그만큼의 유치를 못하느냐는 얘기. .남자프로의 10위상금은 8,200만원대이고 20위는 2,300만원대이다. 그리고 50위는 단 700만원선이고 100위는 고작 83만원이다. 이는 10위가 넘어가면 직업으로서의 "프로"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뜻. 프로들은 총상금에서 협회기금으로 내는게 약 10%이다. 여기에 숙식비나 교통비, 연습비 등 국내경기비용으로 연간 1,500만원정도 나간고 해외대회비용으로도 또 그만큼 나간다. 8,000만원이 총상금이라 치면 4,000만원정도가 필수경비로 나가는 셈. 상금랭킹이 대략 15위권 (3,600만원선)안이면 용품계약금 및 상금에 따른 보너스로 그럭저럭 꾸려 나갈수 있지만 그 밖이면 먹고 살기도 힘들다는 얘기다. "열심히 해서 성적을 높이라"는 말은 제3자의 시각일 뿐이다. 그들 자신의 입장에서는 피가 마르는게 프로골퍼라는 직업이다. .물론 미래가 어둡기만 한 것은 아니다. 대회수는 증가할 것이고 젊고 유망한 선수가 여럿 나올수록 전반적 인기는 높아질 것이다. 실제 춘추전국시대가 된 금년도 우승자 현황은 미래의 한국남자프로골프를 위해 바람직한 일이다. 그중에서 향후 1~2년내에 "튀는 선수"가 새로운 스타가 될 것이고 그 예비후보는 다양 할수록 좋은 것. 골프인구급증과 TV중계 활성화, 그리고 유망주의 출현등 한국남자골프의밑바탕은 과거에 비해 비교할수 없을 정도로 개선됐다. 그것을 구슬로 꿰는 것은 KPGA의 몫. 올 겨울 협회는 "목에 힘 좀 빼고" 영업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