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소식] "경부확대 촬영술 자궁암 오진 줄인다"
입력
수정
자궁암 진단에 널리 쓰이는 자궁세포진검사법의 오진율이 최고 5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 의대 안웅식교수(산부인과)는 이같은 오진율을 줄이기 위해 자궁경부확대촬영검사를 함께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궁암세포진 검사는 자궁경관내의 세포조각 또는 분비물을 채취해 이 검체를 95% 용액으로 건조시킨 다음 현미경으로 세포의 이상유무를 판별해내는 검사법이다. 그러나 세포를 떼어낼때 골고루 채취하지 않아 오진할 확률이 5~55%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검체를 현미경으로 약 15분이상 자세히 관찰해야 하나 국내의료실정상 충분한 검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교수는 이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궁경부확대촬영검사를 병행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검사는 해상도와 광원이 높은 카메라로 자궁경부를 50배로 확대해 촬영,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방법이다. 서울대 의대 이효표교수(산부인과)는 "자궁경부확대촬영검사는 사진결과를놓고 여러 전문의가 동시에 진단하기 때문에 검사가 더욱 객관적이고 오진할확률이 낮다"며 "세포진검사와 병행하면 98%정도의 정확한 검진율을 나타낼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자궁경부확대촬영검사장비가 아직 널리 보급되지 않아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다. 검사비는 3만원선. 539-0191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