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프랑스 톰슨멀티미디어 인수] 배순훈 회장 일문일답

-톰슨멀티미디어 인수로 어떤 효과가 기대되나. "연간 세계 TV시장 규모는 1억대 정도다. 대우는 톰슨과 함께 이중 15%를 공급하게 된다. 또 삼성과 LG가 합쳐 그 정도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산술적으로만 봐도 한국TV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30%에 이른다. 여기에다 저가품으로 인식돼온 한국산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도 크게 향상될 것이다. 톰슨의 기술력을 감안하면 차세대 멀티미디어부문에서도 대우가 주도권을 잡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톰슨 인수후 정상화 계획은. "프랑스 정부가 부채의 상당부분을 탕감해주기로 약속한 만큼 이자부담이 적어진다. 톰슨은 원래 영업이익이 나는 회사다. 이자부담 때문에 이익이 나지 못했을 뿐이다. 따라서 이자부담만 줄면 당장 내년부터라도 흑자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방만한 조직을 슬림화하는 등 경영합리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단 프랑스지역에선 TV생산라인을 증설하고 유리벌브공장도 지어 연간 5천명 이상의 추가고용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브랜드 전략은. "미국에서는 RCA와 GE 프로스캔 등의 브랜드를, 유럽에서는 톰슨 텔레풍겐 등의 브랜드를 사용할 계획이다. 유럽지역의 브랜드는 너무 많아 2~3개만 남기고 모두 정리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도 톰슨공장에서 만들어진 대형TV제품을 들여다 판매할 수 있다. "대우"라는 브랜드를 세계적인 브랜드로 육성하는 것보다 이미 세계적으로 이름이 알려진 브랜드를 사는 게 낫다는 판단을 했다" -톰슨인수에 어려움은 없었나. "프랑스 정부는 물론 톰슨사 고위간부와 프랑스 언론등에서 6개월에 걸쳐 대우전자를 심사했다. 단기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지 여부보다는 장기적으로 얼마나 고용을 창출해낼 수 있는가를 궁금해했다. 심사과정은 공정했고 철저했지만 일단 결정되고 나니까 지원이 파격적이었다. 국내에서 이런식으로 공기업 민영화를 진행했다면 당장 특혜라고 여론이 들끓었을 것이다" -대우가 추진하는 반도체 사업과 관련해 SGS톰슨 (반도체 부문)과 제휴할 수도 있나. "대우의 반도체 사업원칙은 자가 수요를 충당한다는 것이다. 톰슨을 포함해 2~3개 기업과 협력을 논의하고 있으나 아직 밝힐 단계는 아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