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체선/체화 가중 요인은 자동차수송선 우선입항

인천항의 체선.체화를 가중시키는 주요 원인이 수출용자동차의 과도한 야적과 자동차수송선의 "우선 입항"정책인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인천지방해운항만청에 따르면 자동차 수출업계가 현재 인천항내에 자동차를 야적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총 면적은 인천항 전체면적 1백12만제곱m의 22%인 25만1천제곱m이다. 이중 대우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자동차 전용부두인 5부두와 4부두 야적장 12만3천제곱m와 11만6천제곱m를 각각 차지, 수출용 자동차 야적장소로 사용하고 있으며 쌍용자동차가 1만2천제곱m를 쓰고 있다. 인천항을 통해 지난해 수출된 자동차는 인천항 전체 물량 4천1백만t중 1%인42만4천t(42만9천대)을 차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자동차 야적장으로 인천항의 25%가 사용되고 있는 것은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인천해항청 관계자들은 지적했다. 더욱이 전체 입항선박중 인천항 외항에서 12시간 이상 대기한 선박수를 놓고 산출한 선박 체선율이 올 1월부터 8월까지 35.5%로 집계된 반면 자동차수송선은 우선입항정책으로 인해 같은 기간동안 18.1%의 낮은 최선율을 기록했다. 이로인해 선박 접안부두가 비좁은 인천항에서 고철, 곡물, 목재 등을 수송하는 선박들은 상대적으로 입항순서가 늦춰져 같은 기간에 52.7-76.5%의 높은 체선율을 나타냈다. 이와관련, 인천지방해운항만청 민병성청장은 "인천항 전체 화물의 회전율을높이기 위해서 선적이 빠른 자동차수송선을 우선 입항시키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자동차등 화물의 장기 야적을 방지하기 위해 무료 장치기간을 단축하고 장기 야적 화물에 대해서는 누진가산제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우자동차 한 관계자는 "자동차 수송선이 전 세계를 돌며 일정에 따라 인천항에 입항하기 때문에 미리 수술용 차량을 야적장에 옮겨 놓을 수 밖에 없다"며 "오는 2002년께 인천 북항이 완공되면 자동차 수출전용부두를 북항으로 옮길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2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