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기지 정찰/파괴위해 침투" .. 이광수/곽경일 일문일답

-지난 18일 이전에 세차례나 침투했다는데 사실인가. 이 =정찰활동에 대해서는 서로 물어보지도 않는다. 다만 세번정도 들어왔다는 이야기를 엿들었을 뿐이다. 바닷속은 온도차이가 심해서 남한군의 잠수함 탐지장치인 소음탐지기도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마음놓고 유유히 피해왔다. -구체적인 침투 목적은. 이 =정찰조 임무는 기밀에 관련된 사항이기 때문에 정찰조와 전투원간의 일체의 대화가 금지돼 있다. 잠수함에 타서도 따로 밥을 먹고 휴식도 각자의 방에서 한다. 전투원들도 정찰조에게 아무것도 묻지않는다. 다만 정찰국의 주요임무가 군사기지 정찰 및 파괴와 중요인물 납치 및 살해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 임무를 대충 짐작할 수 있다. 내 생각에 전쟁에 대비하기 위한 어떤 문제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특히 잠수함에 탑승하지 않는 해상처장이 탔다는 것은 전쟁에 대비한 큰 사안이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북한의 백배천배 보복 성명이 있은 뒤 실제로 북한군내에 위기상황이 조성됐었나. 곽 =수차례의 강연을 통해 이번 북한 잠수함이 정찰 임무가 아닌 훈련도중 항로 미실로 좌초됐다고 교육받았다. 이후 민경대대의 잠복근무와 관측정찰 임무가 강화됐다. -북한군내 식량사정은. 곽 =전방 부대는 후방과 단절돼 있기 때문에 잘 알지는 못하지만 후방 민간인들이 "딱하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 민경대대는 주식과 부식 등 식량보급사정이 원만해 고충은 없었다. -정부측에 바라는 바는. 이 =북으로 가고 싶은 생각은 전혀 없다. 남한 정부에서 시키는대로 하겠다. -남한 민간인을 죽이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는데. 이 =나를 수상히 보는 사람이 있으면 죽이라는 훈련을 받았다. 실제로도 죽이지 않으면 안된다. 체포당시에도 장전한 권총을 갖고 있었다. -북한이 훈련중 기관으로 표류했다고 주장하는데. 이 =분명히 훈련은 아니다. 13일 저녁에 정찰국장이 환송파티까지 해주면서 격려를 해주었다. 당사자인 내가 거짓말을 하고 있단 말인가.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30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