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컨테이너 쌓아둘곳 없어 물류대란 예상돼
입력
수정
부산지역에 컨테이너를 쌓아둘 곳이 없어 물류대란이 우려된다. 부산 수영정보단지가 내년부터 본격 개발됨에 따라 이 지역에 입주해 있는 부두밖 컨테이너 장치장들이 공사착공 전까지 이전해야 하는데다 장치장업체들이 이전키로 한 양산내륙컨테이너기지(ICD)가 당초 목표한 97년말보다 개장이 크게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시는 오는 12월11일 부산 수영정보단지개발(주)의 창립기념식을 가진뒤 내년상반기내 이 단지의 설계 등을 완공, 내년 11월께 본격 공사에 착공할 것이라며 현재 이 지역을 임대 사용중인 19개 컨테이너 장치장업체들은 이 기간전에 옮겨가야 한다고 18일 밝혔다. 그러나 컨테이너장치장업체들은 지난해말 수영정보단지의 부지면적과 컨테이너 처리능력이 23만평(부산지역 부두밖장치장의 50.4%), 1백6만4천개(전체 처리실적의 34.0%)나 돼 부산 및 인근지역에 이전할 만한 적당한 곳이 없다며 사실상 이전을 포기한 상태이다. 더욱이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은 당초 97년말까지 26만평규모의 양산ICD를 완공, 부산지역의 컨테이너장치장을 모두 이전할 계획이었으나 환경영향평가,보상, 연약지반처리 등 문제들이 발생, 빨라야 오는 99년2월께 완공될 것으로 보여 컨테이너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따라 부산지방 해운항만청은 자성대부두 컨테이너화물조작장(7천평),신선대부두 샤시주차장(4천평), 백운포매립지(7천평), 동삼동매립지(4천5백평), 우암부두(1만5천평), 감천항 한진부두(2만3천평), 감천항 웅도(1만9천평) 등 8만여평을 컨테이너장치장으로 개발추진키로 했으나 대부분 민원 등으로 착공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데다 부두내 일부 업체들의 전용부두로 사용돼 수영컨테이너야적장을 대신하기는 역부족이다. 항만청 관계자도 "현재로선 부산시가 99년 2월 양산ICD가 완공될때까지 수영정보단지내의 장치장들을 그대로 두는 방법외는 대책이 없다"고 밝혔다. 부산발전연구원 박창호 선임연구원은 이와 관련 "수영 장치장업체들이 영업을 중단할 경우 국내 수출입물동량은 마비현상을 나타낼 것이며 현재 한곳에 모인 이 업체들이 분산, 부산지역내 야적장부지를 구해 영업을 한다면 도심의 교통난을 부채질하는 꼴이 된다"고 우려하면서 "부산시와 항만청은 협력, 그린벨트내 야적장의 물색, 동명부지와 청학안벽의 활용,바지선의 야적장활용 등 적극적인 대책마련에 시급히 나서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부산 = 김태현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