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II면톱] '하위직 공무원에 고급인력 몰린다'
입력
수정
하위직 공무원 채용부문에 고급인력들이 크게 몰리고 있다. 전에는 고등학교졸업자들이 주로 응시하는 경향이었으나 지금은 대학을 나온 고학력자의 지원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 여기에 조기퇴직추세에 불안을 느낀 젊은 직장인들도 가세하는 바람에 하위직 공무원취업문은 한층 좁아지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실시한 6~9급 공무원 특채 원서접수결과가 이같은 모습을 뚜렷이 보여준다. 지난 22일 마감결과 박사학위소지자 32명을 비롯한 3백57명이 응시해 예년의 두배가 넘는 7.4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해양부관계자들은 지원자가 많은 것에도 놀랐지만 18명을 뽑는 6급 상당의연구직에 1백29명이 몰리고 그중 박사학위 소지자가 22명, 석사가 97명에 이른다는 대목에서는 말을 잊었다. 지난달 마감된 하반기 서울시지방공무원공채에서도 마찬가지 현상이 나타났다. 7~10급 및 연구직 1천3백38명을 모집하는 임용시험에 대졸이상 학력자 1만6천7백6명이 몰렸다. H대 국문과 4학년 최기형씨는 "번듯한 대기업에 들어가면 좋겠지만 입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여서 상대적으로 취업이 쉬운 하위직 공무원을 택하는 취업준비생이 늘고 있다"고 취업시즌을 앞둔 대학가의 분위기를 전했다. K그룹에서 2년간 근무하다가 최근 그만둔 김건우씨(30)는 "불필요한 경쟁을하지 않고 차분하게 일만 할 수 있는 공무원직이 나을 것으로 생각했다"며 공무원 선호바람을 설명했다. 이같은 "공무원 선호증후군"덕에 각종 국가고시학원도 덩달아 호황을 누리고 있다. 서울시내 고시학원들은 오후 7시가 되면 7~9급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대학생이나 이직준비자들로 빈자리를 찾기 어렵다. 강남역 주변에 위치한 한교고시학원 김재상씨는 "고학력자 취업난때문인지 지난해보다 대졸이상 수험준비생들이 곱절이상 늘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