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협회, 올해 주택공급물량 감소 전망

주택건설업체 분양담당자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주택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주택공급물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주택협회(회장 이충길)가 최근 77개 대형주택건설업체 분양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97년 주택경기와 지정업체의 사업계획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올해 주택경기전망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54%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34%가 더 나빠질 것으로 각각 대답, 90%이상의 분양담당자들이 올해도 주택경기가 침체를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경기가 나빠지는 원인에 대해서는 경기침체때문이라는 응답이 39%로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유효수요부족(18%) 재산증식을 위한 투자효율저하(17%) 부동산투기억제정책(10%) 분양가규제(8%) 등의 순이었다. 주택공급물량에 대한 질문에서는 공급물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56%나 된 데 비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24%에 불과, 올해 주택공급물량은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주택사업을 추진하면서 부닥치는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47%가 택지확보를 꼽았고 다음으로는 자금조달(25%) 기업경쟁력(15%) 전문인력확보(6%)등을 들었다. 주택업계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정부가 해주어야 할 일로는 민간부문의 자율성을 제고해야 한다가 34%로 가장 많았으며 주택관련법 정비(25%)경쟁력강화를 위한 기반구축(17%)제도 및 관행의 국제화(1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주택업체들이 올해 가장 치중해야 할 사업에 대한 설문에서는 지주공동사업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2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재개발 재건축사업(20%) 주상복합 및 오피스텔사업(17%) 임대주택사업(13%) 실버타운 및 전원주택사업(9%) 등으로 대답했다. 또 98년 주택시장개방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25%가 비교우위분야를 집중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그 다음으로 특화사업육성에 따른 신상품개발(21%) 주택사업의 고부가가치산업화(16%) 해외수주확대와 시장다변화(15%) 기술개발을 통한 신소재개발(14%)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