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 부진에 파업 "강타" .. 월간 최대 무역적자 이유는

한보철강 부도로 몸살을 앓고 있는 우리경제에 월간 무역수지 적자규모 사상최대치 경신이라는 한파까지 덮쳤다. 역시 이번에도 외형적으로 나타난 주범은 반도체다. 1월중 반도체 수출액은 작년 1월보다 44.2%나 감소했다. 반도체를 제외하면 2.0%의 증가로 나타나 반도체쪽의 타격이 워낙 컸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노동법 개정에 따른 파업으로 3억1천5백만달러의 수출차질이 얹어졌다. 얼핏 외형만 보면 반도체가 살아나고 파업위기만 가라앉으면 상황은 나아질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수출부진 수입증가의 구조가 고착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품목별 수출동향을 보면 수출감소를 보인게 반도체 뿐이 아니다. 자동차(75.9% 감소) 전자부품(28.5% " ) 일반기계(23.8% " ) 석유화학(6.2% " )도 죽을 쒔다. 주력부대 전원이 탈진한 양상이다. 수입도 마찬가지다. 전반적인 경기가 바닥을 헤매고 있는 것과는 달리 원유수입은 79%나 늘었고신발 의류 화장품 가구 휴대용전화기등 소비재 수입은 지칠줄 모르고 늘고 있기만 하다. 1월의 적자가 사상 최대이고 수출감소폭이 4년여만의 최대치라는 대목은 지금 우리의 수출경쟁력과 소비태도를 한마디로 설명해 주는 수치다. 왜 이렇게 힘을 잃었는지를 바탕부터 다시 따져 보아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