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학위자도 괴롭다" .. 불황 일자리 적어 취업 별따기
입력
수정
박사학위를 가진 백수(실업자)인 "박수"들은 졸업시즌을 맞아 마음고생이 한층 더하다. 통상 박사학위를 받으면 11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이어지는 대학의 교수요원 자리를 얻거나 연구소에 취직하는 등 취업일선에 나서게 된다. 이때 기회를 못얻으면 고통스런 겨울을 맞게 마련. 특히 졸업시즌에는 새로 "백수"가 나오게 돼 이래저래 심적 고통이 심해진다. 24일 연세대 이화여대 경희대 건국대 등 4개대가 졸업식을 갖고 박사를 배출하는 등 올해만도 전국에서 5천여명의 박사가 나온다. 이가운데 학문의 길이나 안정된 직장을 갖는 사람은 극소수. 친지 친구들의 축하속에 박사학위를 손에 쥐었지만 상당수가 막상 갈 곳이 없다. 대학의 교수나 전임강사 자리는 한정돼있어 하늘의 별따기다. 게다가 최근 경기불황으로 민간기업들이 박사급 연구위원의 채용규모를 대폭 줄이거나 아예 뽑지 않았다. 올해는 그 어느해보다도 많은 "박수"들이 배출될 전망이다. 서울대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는 강모씨의 경우 올해가 끔찍하다고 말한다. 아내가 전업주부인 그는 박사과정까지는 과조교일도 하고 학기중에는 시간강사, 방학중에는 고등학생을 상대로 과외를 해 월평균 1백50만원 정도는 벌었었다. 하지만 박사학위를 받게 되면서 과조교일을 후배에게 양보해야 했다. 뿐만 아니라 동료들이나 가족들에게도 부끄러워 중고생 과외를 더이상 할 수 없게 되었다고 털어놓는다. 쥐꼬리만한 시간강사 수입마저 방학기간인 겨울에는 끊어져버렸다. 그는 "박수들 사이에서 박사학위보다 바둑1급이 낫다"라는 자조까지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무리 곤궁한 "박수"들 사이에서도 부모가 잘 살더라도 손내미는 것은 최고의 파렴치로 꼽힌다고 덧붙였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