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파일] '벤처캐피털' .. 모험기업 지원 자금
입력
수정
"1백개 가운데 한두개만 건져도 성공이다" 벤처기업을 가장 쉽게 설명한 것이다. 벤처캐피털(모험자본)은 이같은 모험기업을 지원하는 돈이다. 장래성이 있다는 이유하나로 위험을 부담하면서 지원되는 자금이다. 그렇다면 왜 이처럼 위험부담을 안으면서 자금을 지원하는가. 바로 수익성때문이다. 1백개 가운데 한두곳만 성공하더라도 본전을 뽑을 수 있다. 벤처기업의 기술성이 뛰어나다는 얘기도 된다. 우리나라의 벤처캐피털은 투자대상 발생목적등 여러 측면에서 외국의 그것과는 다르다. 특히 투자대상의 경우 기술의 개발과 도입등 기술관련활동 및 신기술의 기업화활동과 관련된 자금의 투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벤처캐피털은 한국종합기술금융회사 신기술사업금융회사 창업투자회사등 3원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이 가운데 창업투자회사(창투사)는 설립초기단계의 기업에 대해 주식인수등 자본참여위주로 지원하고 있다. 제도도입의 취지에 가장 충실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셈. 창투사는 지난 94년말까지 1천6백여개의 창업기업에 모두 1조2천7백84억원을 지원했다. 그러나 미국등 선진국과는 달리 순수한 의미의 벤처자금지원이 부진한 것을 비롯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미국의 경우 여러가지 여건이 이상적으로 갖추어져 단기간에 급성장할 수 있었다. 사업화가 가능한 첨단기술을 개발.활용할 수 있는 기술수준과 효율적인 산학협동의 기술개발체제가 갖추어져 있었다.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투자할만한 장기여유자금도 축적돼 있었다. 이와 함께 지적재산권 보호장치, 공정하고 투명한 기업회계제도, 기업가의 창의성을 존중하는 전반적인 사회분위기 등도 벤처캐피털의 활성화에 큰 몫을 차지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