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II면톱] 시내버스 임금협상 난항 .. 6대 도시

서울 부산 등 전국 6대 도시 시내버스 노사는 노조의 전면파업 결행을 하루 앞둔 25일 지역별로 협상을 재개, 26일 새벽까지 밤샘협상을 벌였으나노사간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해 진통을 겪었다. 서울시내버스 노사는 이날 밤 8시30분부터 서울 잠실 교통회관에서 임금협상을 속개했으나 노조가 기본급 15.7% 인상과 상여금 50% 인상을 고집한데 대해 사용자측은 서울시의 요금인상방침이 나온만큼 기본급 3% 인상선에서 가능하다고 맞서 난항을 거듭했다. 이날밤 10시를 조금지나 노조측이 "이런 상태에서는 더 이상 협상은 계속할 수 없다"며 회의장을 빠져 나가기도 했다. 서울시내버스 사용자측은 협상이 더이상 진전되지 않을 경우 조만간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기로 했다. 새로 제정된 노동조합법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르면 공익사업인 시내버스의 경우 노사 어느 일방이 조정을 신청하면 15일간 조정을 받아야 하며 이기간에는 쟁위행위에 돌입할 수 없다. 광주지역은 지난 24일 광주시가 "사용자측이 안을 제시해 올 경우 요금인상을 검토하겠다"고 약속함에 따라 이날 협상에서는 타결점을 찾을 것으로기대됐으나 사용자측의 수정안이 제시되지 않아 기존입장을 확인하는데 그쳤다. 부산의 경우 노조는 15.7% 인상을 요구한 반면 사용자측은 5% 인상안을 고수, 협상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편 서울시는 시내버스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지하철 1백36편을 증편 운행하고 1만5천5백대의 개인택시 부제를 해제하며 마을버스 운행노선을 연장하는 등 교통대책을 세웠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