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레나토 루지에로 <WTO 사무총장>
입력
수정
"한국이 올해 계획하고 있는 6%대의 경제성장은 선진국들도 부러워할 만한 높은 수준입니다. 게다가 저축률이 높고 실업률은 낮아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이 충분히 개선될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임창열 통상산업부장관 초청으로 방한중인 레나토 루지에로 세계무역기구(WTO)사무총장은 17일 가진 기자회견에서 현재 한국경제를 이렇게 평가하고 "세계7위의 무역국인 만큼 경제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더라도 세계경제에 역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소비운동을 어떻게 보나. "임통산장관과 면담하면서 정부가 개입한 것이 아니라 소비단체들의 민간운동이라는 설명을 들었다. 그러나 한국경제가 자유무역과 긴밀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에 역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다른 나라들이 한국의 소비절약운동을 걱정하고 있다고 듣고 있다" -EU(유럽연합)가 WTO에 한국의 소비절약운동을 제소키로 했다는데. "WTO에 우려를 표명하는 서한을 보내오긴 했지만 분쟁해결절차에 정식 제소하거나 협의를 요청한 사실은 없다" -한국 경제를 어떻게 보는가. "6%대의 경제성장은 매우 높은 수준이다. 여러가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이런 문제는 선진경제에서도 나타나는 것들이다. 경상적자나 실업률도 다른 나라보다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 -한국의 시장개방 수준은. "많은 진전이 있지만 아직도 투명성을 높일 부분이 있다" -한국을 방문한 성과가 있다면. "한국측과 28개 WTO후보국들의 가입문제를 신속히 마무리하자는데 합의를 봤다. 한국이 최빈개도국들의 시장접근과 관련해 기여할 부분이 있음을 강조했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 WTO정신에 합당하다고 보는가. 미국은 무역적자때 슈퍼 301조를 활용했는데. "WTO정신은 국제적 법칙에 따라 다자간 무역체제를 구축하는 것인데 지역협정이 다자각 무역에 밑거름이 될 수도 있다고 본다. NAFTA의 합치성 여부 검증은 현재 WTO 지역협정위원회에서 진행중이다. 미국은 WTO 발족이후 301조를 가동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