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종말처리장 중소규모 위주로 짓는다...환경부
입력
수정
환경부는 현재 대규모 위주로 건설중인 하수종말처리장을 앞으로는 중소규모로 전환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대규모 하수종말처리장은 하수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실제로 하수종말처리장에 도달되기 전에 상당량이 누수되는 등 부작용이 많고 하수처리효율이 떨어져 앞으로는 중소규모 위주로 건설키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환경부는 특히 하수종말처리장의 경우 주민들이 인근에 들어서는 것을 적극반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앞으로는 선진국처럼 하수종말처리장 건설시 주변 환경을 친환경적인 분위기로 조성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하수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실정에 맞는 중소규모 하수종말 처리장을 건설토록 해 현재 79개인 하수종말처리장수를 오는 2005년까지 3백15개로 늘린다는 것이다. 환경부의 이같은 방침은 하수가 발생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대형 하수종말처리장에 이르면서 지하수가 상당량 유입되고 또 하수관 불량률이 30%에 달해하수가 지하수와 섞여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등 현행 체계로서는 하수처리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전국의 하수종말처리장은 79개로 하수처리율은 50%선에 그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하수종말처리시설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려면 현재와 같이하루 수십만t을 처리하는 대규모 방식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환경부의 판단"이라면서 "이에 따라 앞으로는 중소규모 위주로 건설해 하수처리효율을 높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