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성수대교 재개통

3일 오전 10시30분 성수대교 교량위 재개통 식장. 2년8개월전 다리상판이 떨어져나간 바로 그 자리에서 서른 두 송이 하얀 국화가 한강 물위로 떨어져 내렸다. "광수야 광수야" 희생자의 이름을 목놓아 부르는 한 유족의 모습이 참석자를 숙연케 했다. 그것은 개통식이라기보다는 추모식에 가까운 분위기였다. 자리에 모인 사람들도 침통한 표정을 쉽게 지우지 못했다. 한 시관계자의 말대로 "이런 행사를 하는 것 자체가 부끄러운 일"이었다. 이날 성수대교 재개통식에는 건설현장소장이 시공자들의 이름을 새긴 동판을 증정했다. 새 교량에 대해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의지의 표시다. 안전선언문도 낭독됐다. 조순 서울시장도 인사말을 통해 "부실의 상징이 안전의 상징으로 탈바꿈하길 기대한다"며 "부실공사는 없다는 새로운 건설문화를 성숙시키자"고 호소했다. 이 모든 염원속에 성수대교는 복구됐다. 새 교량위를 신나게 질주하는 차량을 보면 그 날의 상처는 사라진 듯하다. 마치 "부실공사추방"이란 숙제가 성수대교 재개통으로 다 해결된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빨리빨리" "대충대충"이란 오랜 관행이 근절됐는가라는 질문에 딱부러지게 대답할 수 있는 공직자나 건설관계자는 얼마나 될까. 또 그 말을 믿는 국민들은 어느 정도일까. 단군이래 최대 역사라는 경부고속철도가 처음부터 부실투성이라는 어처구니없는 사실이 얼마전 밝혀졌다. 신축아파트 축대가 비에 무너져내린 일도 있었다. 공사현장마다 벌어진 부실공사추방대회가 구호에만 그쳤다는 느낌을 지울수 없게 만드는 현실이다. 너울너울 다리 난간아래로 떨어지는 꽃송이를 보며 이 땅의 모든 부실도 함께 사라지길 바라는 마음은 혼자만은 아닐 것이다. 김준현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