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에 선 지방업체] (1) '설땅이 좁아진다' .. "속수무책"
입력
수정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지방 유통업체들이 위기감에 휩싸이고 있다. 부산지역 터줏대감격 기업인 태화쇼핑이 롯데 현대 등 서울 대형백화점들의공세에 밀려 경영상태가 악화, 법정관리를 신청한데 이어 태화쇼핑 소유주인 김정태회장이 9일 자살이란 극단적인 방법을 택하자 대부분의 지방 유통업체들은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지방에 깊은 뿌리를 내려온 토착유통업체 몰락의 직접적인 원인은 거대한 자본력을 앞세운 서울 대형 유통업체들의 남진정책에 있다. 서울과 수도권상권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서울 대형 백화점들은 지난 95년부터 지방 거점마련에 본격 돌입했다. 자본력에다 상품력 인력에서 월등한 우위에 서있는 서울 유통업체들과 지방 유통업체의 경쟁은 마치 어른과 갓난 아기의 씨름처럼 결과가 이미 예견돼온 것이다. 태화쇼핑의 경우는 이같은 예상을 처음으로 실증한 셈이 됐다. 부산상권의 정복자는 현대와 롯데백화점이다. 현대와 롯데는 지난 95년 8월과 12월 잇따라 태화백화점 인근에 매장면적 1만평안팎의 대형 점포를 내고 부산지역 상권장악에 들어갔다. 방어자인 태화쇼핑도 이에 맞서 지난해 8월 본관옆에 신관을 지어 4천평이던 매장면적을 2배로 늘렸다. 뿐만 아니라 북구 덕천동에 2호점 건립을 추진했다. 매장 대형화와 다점포화로 공룡업체들에 대항하겠다는 전략이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1천억원이 넘는 빚을 끌어다씀으로써 자금압박에 시달려야 했다. 판매부진은 계속됐다. 매출액은 지난 95년 1천8백5억원에서 96년 1천4백49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영업이익은 1백62억원에서 마이너스 6억원으로 돌아섰다. 광주에서도 마찬가지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 86년 번화가인 충장로에 매장면적 4천7백평의 중형 점포의 문을 연 가든백화점은 개점이래 처음으로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보다 줄어드는 이변이 일어났다. 지난 95년 1천41억원에서 96년 9백32억원으로 뒷걸음친 것이다. 영업이익도 77억원에 31억원으로 줄어 전년대비 절반에도 못미쳤다. 신세계백화점이 지난 95년 8월 서구 광천동에 매장면적 6천여평의 중형 점포를 낸지 1년여만에 일어난 사건이었다. 대전지역의 경우 아직은 큰 타격을 받고 있지 않지만 서울 대형업체와 외국업체가 백화점과 할인점을 연거푸 내는 내년이후 상황이 급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거대한 신상권으로 부상하고 있는 둔산지구를 축으로 롯데 신세계 뉴코아 갤러리아 등 서울 업체들이 오는 98~2000년까지 집중적으로 점포를 낼 예정이어서 현지 업체들은 사활을 건 방어전략에 나서고 있다. 대구지역도 하반기들어 전운이 감돌고 있다. 오는 26일 신세계백화점이 운영하는 회원제창고형 할인점 프라이스클럽이 오픈하는 것을 시발로 연내 삼성물산의 첫 작품인 할인점 홈플러스, 거대 외국유통업체 까르푸와 마크로 등이 잇따라 점포를 낼 예정이다. 지방 유통업체들이 물론 손을 놓고 몰락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지방유통업체들은 시장개방으로 외국유통업체가 국내 시장에 진출하면서 전국을 무대로 상권전쟁이 벌어질 것이란 예상아래 다양한 대응책마련에 부심해왔다. 길목을 차단하는 입지선점과 다점포화, 업태다각화 전략 등을 대표적인 예로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지방업체들의 이같은 대응전략은 자금력 인력 등 총체적인 면에서 일정한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지방 대도시 황금입지에 3~4개의 백화점과 외곽지역에 할인점을 보유,다가올 서울 및 외국업체들과의 생존을 건 싸움에 제대로 대비하고 있는곳은 대구지역의 동아 대구백화점과 대전의 동양백화점이 거의 전부이다. 지방업체들이 아직 다점포체제를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서울업체들이 멀지않아 지방상권을 거의 장악할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견해다. 다점포화의 실패는 곧 상품구매력(바잉파워)약화와 상품구색 및 가격의 열세를 뜻하기 때문이다. 폭풍전야의 지방 유통시장. 토착 유통업체들은 지금 부산지역 터줏대감 태화쇼핑의 몰락을 두려운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11일자).